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해학적 악인’을 원형으로 삼아 캐릭터를 디자인할 때에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서사적 입장에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해학적 악인’은 판소리 문학에서 악인이지만 위험한 인물이라기보단 우스운 인물로 등장하는 놀부, 뺑덕어미, 옹고집 등을 가리킨다. 이들은 선인을 파멸로 이끈다든지, 악성으로써 세계를 위기에 처하게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악인들과 구별된다. 해학적 악인에 대한 수용층의 태도는 ‘희극적 관용’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관용의 원천은 이들 인물 유형에 대한 심리적 기반이기에, 캐릭터 수요의 근거로도 이해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가 탐색되었다. 즉, 해학적 악인들의 외모는 비정상적이어서 악성의 공포성에 대한 극적 환상을 깨뜨린다. 그들의 악행 또한 거대한 사회적 위기를 일으키기는커녕 심술에 가깝다. 그리고 그들은 이런 심술에 매우 뻔뻔하고도 당당한 태도를 보인다. 그 악행에 대한 징치 또한 절대성을 띠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해학적 악인은 사회적 규범의 경직성과 이타성을 조롱하는 원초적인 이기심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의 문화 콘텐츠에서 해학적 악인 캐릭터의 구현은 이러한 인간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기반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present how to design a humorous villain character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The humorous villains are harm ones who are not danger but humorous such as Noloo, Onggojib, Bbangduk's mother in Pansori text. They does not lead a good man's ruin or invite a world's crisis. At this point, the humorous villains are different from a general villain who always cause a danger situation. A attitude of people to a humorous villain is farcical tolerance that is understood as a base of aesthetic demand for a humorous villain character. And why does the people have a tolerance to the humorous villain? I examine three matters to understand it. First, the appearances of them are so abnormal that people could not be immersed in dramatic fantasy. Second, their evil conducts are too farcical to be treated a really harm things to their neighbor or society. And they are too shameless about their behaviour. Third, a punishment about these villain's deed don't have absolute consistency. Therefore, a humorous villain show that they are based on the basic selfish mind in which people ridicule the altruistic mind and the rigidity of social rules. So, to design a humorous villain character, we have to base on this understanding on the human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