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신작 구소설의 근대성을 가사가 삽입된 신작 애정류 구소설을 대상으로 진단하였다. 구체적으로 <채봉감별곡>, <청년회심곡>, <부용상사곡>에서 전래의 고소설 양식의 변화를 포착하고, 그것의 서사적 의미와 배경 등을 해명하였다. 신작 구소설이 보이는 변화의 양상은 먼저 시가의 삽입이다. 전기소설이나 판소리체 소설에서도 시가는 삽입되었으나, 신작 구소설에 삽입된 시가들은 너무 길어서 서사 구조의 유기성, 독자의 정서적 몰입을 방해하는 효과를 낳았다. 그러나 이러한 텍스트 완결성의 문제는 신작 구소설의 향유 방식이 이전과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즉, 1910년대 광범위하게 퍼진 잡가 등에 대한 열렬한 수용 체험과 요구는 서사 텍스트에도 영향을 끼쳐서, 소설 텍스트의 완결 구조 속에서 독서가 이루어지지 않고 시가 텍스트의 수용 체험을 환기하는 방식으로 감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계보의 소멸은 인물의 가계나 탄생 내력을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물과 사건 구성에서 한 존재의 기원을 밝힘으로써 그의 인간성이나 사건 전개에 정당성을 부여하던 형상화 방식이 사라졌음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신작 구소설에서 서사적 상상력은 보다 현실적 계기 속에서 펼쳐지게 되었다. 선인의 구원은 위기 상황에 놓인 주인공을 우연한 선인이 구원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전래의 고소설에서도 발견되는 것이지만, 선인의 개입이 천상계와의 인연을 통해 인과성을 띠지 않고 전적으로 우연한 일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선인의 구원은 주인공의 근대적 욕망을 신작 구소설이 감당할 수 없게 되면서 만들어진 서사적 미봉책으로 이해된다. 결국 신작 구소설은 고소설이라는 과거의 문예 지식이 근대 계몽기에 지니는 현대적 가치를 가장 역동적으로 반영한 결과이자, 그 한계를 함께 드러낸 예술용품이었다.


I explained the modernity of Shinjak-Gusoseol with <Chaebonggambyolgok>, <Cheongnyonhoisimgok>, <Booyong- sangsagok> in which Gasa were embeded. I captured the narrative changes in these texts, and accounted the meaning of it. The First change is a insertion of Gasa. This custom is not abnormal, because we can look many songs in Jeongi novel or Pansori novel. But in Shinjak-Gusoseol, the embedding long songs make the text loose and break the narrative tension. It means that a reception way of novel text was changed to depend songs which a reader had heard before the novel text. A disappearance of genealogy means a family line or a birth story is not sain in text. It show us a narration way that give a justification to character composition with lineage disappeared. So narrative imagination is to go in actual world. A relief of a good man is for a goon man to relieve a hero in crisis by chance. We can find this in old Korean novel but that was not by chance. Because he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a hero in the heaven. But in Shinjak-Gusoseol, a good man is just a kind man who has no relationship with a hero. So he is a makeshift to solve the hero's modern desire. At last, Shinjak-Gusoseol was a result which literary knowledge in the past had changed in modern times.


I explained the modernity of Shinjak-Gusoseol with <Chaebonggambyolgok>, <Cheongnyonhoisimgok>, <Booyong- sangsagok> in which Gasa were embeded. I captured the narrative changes in these texts, and accounted the meaning of it. The First change is a insertion of Gasa. This custom is not abnormal, because we can look many songs in Jeongi novel or Pansori novel. But in Shinjak-Gusoseol, the embedding long songs make the text loose and break the narrative tension. It means that a reception way of novel text was changed to depend songs which a reader had heard before the novel text. A disappearance of genealogy means a family line or a birth story is not sain in text. It show us a narration way that give a justification to character composition with lineage disappeared. So narrative imagination is to go in actual world. A relief of a good man is for a goon man to relieve a hero in crisis by chance. We can find this in old Korean novel but that was not by chance. Because he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a hero in the heaven. But in Shinjak-Gusoseol, a good man is just a kind man who has no relationship with a hero. So he is a makeshift to solve the hero's modern desire. At last, Shinjak-Gusoseol was a result which literary knowledge in the past had changed in modern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