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시습은 한국의 대표적 지식인이다. 그가 살았던 조선 초기는 다양한 교설(敎說)이 난무하며 팽팽하게 그 세(勢)를 겨루던 시대였다. 신라와 고려를 거치는 1,500년 이상, 사회의 보편이념으로 자리 잡았던 불교가 새 왕조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건재함을 과시하였고, 13세기 말과 14세기에 신흥사대부의 약진과 더불어 새로운 사상으로 부각되고 마침내 새 왕조의 공식적 지지를 받은 유교 또한 그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천 년에 걸쳐 기층문화 속에 유전(流傳)해 온 민간도교의 힘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렇듯 다양한 이념들이 다투어 서로의 입장을 옹호하는 가운데, 오히려 사회의 보편이념은 부재하게 되는 사상의 춘추전국시대가 된 것이다. 이러한 보편이념의 부재에 대한 자각이 지식인 김시습을 혼란에 빠뜨렸고 방황하게 하였다. 김시습의 <남염부주지>는 이념 간 갈등과 보편이념의 부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이 소설은 난무하는 이념들의 주장과 갈등에 의해 사회적으로 소외된 지식인의 고뇌를 담고 있다. 수많은 종교와 학설이 소리 높여 자신의 입장을 내세우고, 모두가 나름의 논리로 사람들을 혹하게 하지만 그들 중 어느 하나도 개인에게 확고한 신념을 제공하지 못한다. 오히려 그들은 다른 입장과 갈등하고 상대를 타자화하는 과정에서 개인을 소외시킬 뿐이다. 이에 대해 김시습은 서로 다른 권역(圈域) 사이에 ‘경계역’을 설정하고 ‘유(遊)’의 방식으로 경계를 넘놀 것을 제안한다. 작가는 쟁론적 이념들의 영역,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인물을 자신의 문학적 자아로 설정하고 그로 하여금 ‘경계역’에서 ‘넘놀며(遊)’ 독한 회의(懷疑)를 충분히 들어주고 답을 제시해주는 또 다른 자아를 만나게 한다. 지식인 스스로 신념의 부재와 나약한 실체를 정직하게 인정하고 나서야 비로소 바른 이념을 모색할 수 있는 대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신념도 없이 주류적 의론에 얹혀 제 목소리인양 큰 소리 내는 위선적 지식인이 판치는 세상을 향해 김시습은 ‘소통을 통한 이념 모색’ 그 자체가 의미 있음을 말하고 있다. 그렇기에 박생의 죽음은 좌절이나 실패가 아니다. 그의 죽음은 정직한 사람만이 계승할 수 있다는 염왕의 지위를 잇는 것이며, 염왕의 선위는 그가 신념부재를 인정하고 회의에 대해 소통하려는 정직한 지식인임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믿고 따를 수 있는 보편이념은 부재하고, 난무하는 의론들과 갈등하는 이념들 사이에 개인이 소외되는 현상은 21세기 문명갈등과 무관하지 않다. 그렇기에, 김시습이 제안하는 전망은 현재의 우리, 특히 지식인이라 자처하는 이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가 될 것이다.


Kim-Siseop is a Korean representative intellectual.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he spent was an age various doctrines continued to swirl and competed for their power with well matched in strength. Buddhism, established as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society for more than 1,500 years from Silla to Goryeo, was still maintaining its prosperity despite the pressure of the new dynasty. Confucianism, emerged as a new idea with advance of the newly-rising nobility in the end of the 13th and 14th centuries and supported officially by the new dynasty, also was making its position secure.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folk Taoism which had spread into basic culture for thousands of years was the thing in no way negligible, A variety of ideas were safeguarding their own positions, however, it led to the Period of Spring & Autumn Warring States in ideas the universal ideology of the society was absent. Consciousness on such absence of the universal ideology made an intellectual Kim-Siseop fall into confusion and wander about. <Nam-Yumboozoo Zi> by Kim-Siseop raises a question about conflict among ideologies and absence of the universal ideology. This novel deals with anguish of an intellectual alienated socially by the voice and conflict of the swirling ideas. Many religions and doctrines strongly stand on their places and mislead people with their own logic, neither of them give an individual a firm belief. Rather, they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alienate individuals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someone otherness. So, Kim-Siseop sets a ‘Borderline’ among different regions, and suggests ‘strolling’ in the border. The author sets a character as a stranger who can't belong to nowhere in the areas of the controversial ideas and makes him encounter alter ego who listens to his severe skepticism carefully and gives an answer while strolling in the ‘Borderline’. When an intellectual himself recognizes the absence of faith and substance of weakness honestly, finally a dialogue is possible to grope for a right ideology. To the world ridden by hypocritical intellectuals who are talking big as if it were his real voice without a belief depending on mainstream arguments, Kim-Siseop tells us ‘Groping for an ideology through communication’ itself is a meaningful one. So, the death of Park Saeng is neither frustration nor failure. Because his death succeeds to the status of the king of the underworld, which only honest man can inherit. The reason he can be the king of the underworld is that he is an honest intellectual to recognize absence of faith, trying to have mutual understanding about doubt. The phenomenon, a reliable universal idea is absent and individual is alienated in the swirling arguments and conflicting idea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21st century's conflict of civilizations. Therefore, an outlook Kim-Siseop suggests will be a meaningful message for us where we are, especially for ones who look upon themselves as intellect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