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이춘풍전>의 인물 형상을 새롭게 검토하고, 이를 통해 이 작품에 담긴 19세기적 현실을 탐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서론에서 그간의 연구가 인물 연구에 편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춘풍 처 김씨를 근대적 여성상으로 해석하려는 초창기 연구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음을 지적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넘어서기 위해서 김씨 이외의 인물들에도 고른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이 작품의 지향이 과연 근대적인 것인가에 대해서도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2장에서는 <이춘풍전>의 공간과 인물 구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간마다 인물의 대립 구도가 달라지며, 그 갈등 구도 역시 달라진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서 춘풍, 김씨, 추월이 각기 어떤 방식으로 대립하고 있는지, 그 갈등의 원인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그간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추월에 주목하였는데, 추월은 춘풍에게 과거를 상징하는 매혹과 공포의 양면성을 지닌 인물이다. 이와 달리 김씨는 춘풍을 구원하고 죄책감을 면제해주는 또 다른 타자였다. 3장에서는 추월과 김씨가 각기 과거와 현재를 상징하는 인물이며, 한양과 평양은 이들이 활동하는 공간인 동시에 이들이 상징하는 가치를 공간화한 것임을 지적했다. 본고에서는 <이춘풍전>과 <게우사>의 인물을 비교함으로써, 각 작품이 지향하는 바를 좀 더 명료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게우사>에서 의양은 남성 주체가 빠진 향락의 대상이지만, 동시에 그를 구원하는 인물이었다. 의양의 역할은 <이춘풍전>에서 매혹과 공포를 상징하는 악녀 추월과, 현실적 가치를 우선하면서 춘풍을 추월로부터 구원하는 인물 김씨로 분화되었다. 춘풍은 김씨와 추월, 그리고 현실적 가치가 지배하는 한양과 전통적 가치가 존재하는 평양 사이에서 배회한다. 본고에서는 춘풍이 드러내는 혼란스러움이 과거와 현실의 가치가 충돌하는 시점에서 남성 주체가 가진 ‘자학적 환멸’과 ‘절망적 해학’을 담고 있다고 보았다. <이춘풍전>의 이와 같은 공간과 인물의 구도 속에는 19세기 남성 주체가 기존의 가치를 부정하면서도, 새로운 가치를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는 ‘곤경’과 ‘환멸’이 드러난다.


In this study, I focus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characters of Yichunpungjeon(李春風傳) which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the latest old novel in Chosun Dynasty. Although this novel has been studied in the early stage, it has only prompted scholars to develop a limited subject. That was on the characters, especially Chunpung's wife who was thought as the symbol of modernity. In this paper, I seriously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characters, instead of the connection with modernity and the dominant position of Chunpung's wife. The most interesting thing of Yichunpungjeon, I think, is two cities of Hanyang and Pyungyang are deeply connected with two women, Chunpung's wife and Kisaeng(妓生) Chuwol(秋月) who each symbolize the present and the past. For that reason, a forward and backward journey between Hanyang and Pyungyang of Chunpung is understood as not only the actual travel but also wandering and confusion between the value of the present and the past. In Geusa which has been thought as closest text of Yichunpungjeon, Moosuk(武叔) was seduced by fatal attraction of Kisaeng(妓生) Uiyang(의양) and squandered every penny of the legacy from his parents. But Uiyang also extended a helping hand to him. Unlike Yichunpungjeon, the fall and redemption of Moosuk originated from the same person, Uiyang. The wandering of Chunpung between Hanyang and Pyungyang, and the separation of destroyer and savior were represented the confusion of male subjects in 19th century. And to conclude, I pointed that this text revealed the reality of 19th century reflected the distress and disillusion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in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