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장편 가문소설인 <조씨삼대록>의 구성과 인물 형상화의 방식은 『주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과 양의 대대관계적 사유체계를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그것은 공간적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교역의 사고와 시간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변역의 사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역의 사고는 대립적 성격의 인물들이 교차적으로 배열된 국면에서 잘 볼 수 있다. 조성과 조무는 서로 대립적인 성격을 지닌 조가의 중심축으로서 모든 가문의 일에 조화와 균형의 역할을 하고 있고, 그 밑의 세대들도 음양의 인물들이 조화롭게 포진된다. 같은 성격의 인물들이 세대별로 연달아 이어지지 않고 격세대로 교차 배열됨으로써 아버지에서 조카로 서로 닮는 현상이 벌어진다. 이렇게 세대간ㆍ형제간 인물 성격이 편중되지 않고 강유가 조화가 되도록 교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은 주역의 교역적 사고가 체계적으로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교역적 사고는 서로 반대되는 성질들이 상호균형을 맞춤으로써 서로 보완해주고 서로 이루게 해주는 상반상성의 사고로서 가문에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지 않는 균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가문이 발전하고 번창하게끔 하는 바탕을 마련해주고 있다. 변역의 사고는 <조씨삼대록>의 인물들이 가문의 번창하는 모습을 보고 두려워하는 현상에서 잘 볼 수 있다. 초공과 같이 진중한 성격의 사람들은 자손들이 영달의 지름길인 과거를 너무 이른 나이에 보려 한다거나, 가문원에게 너무 빨리 과도한 봉작이 주어진다든가, 잔치나 행사시에 가문원의 수가 지나치게 많음을 보고 오히려 가문의 위기감을 느낀다. 이는 만물의 흥망성쇠란 순환 반복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번성의 극단에 서기 전에 미리 예방하고자 하는 우환의식의 발로이다. 여기에는 역사에 대한 유가의 책임의식이 발현되어 있으며, 윤리도덕적인 자각을 통해 성덕에 이르고자 하는 의지가 표명되어 있다. 이러한 물극필반의 변역적 사고는 가문원들의 내면 성찰을 촉구함으로써 가문의 존재론적 철학을 심화시키는 담화적 역할을 하고 있다.


A Korean long family novel <Three Generations Story of Cho-Family[曺氏三代錄]>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have a homogeneity in thinking system. It is called the ‘opposing- dependent relationship’ of Yin[陰] and Yang[陽]. The central figures of Cho family are two brother with completely opposing characteristic style. They brings the family in balance. Same characteristic style appear not continuously between generations but leap over generations. Same characteristic style downs to nephew from father. This shows the preference of harmony of yin-yang in generation and brotherhood. It is important that avoid the excessive valuing of one sided composition of characters in the family. The central figures of Cho family are afraid of the excessive promotion of family member and being a big family. They are going to avoid the extreme situation of prosperity because they know very well that the situation after flourishing should be followed to the decline. This is the truth what they learn from phenomena of the world like as the up and down of moon or tide etc. They go forward historical sense of duty and their own moral management through the fear about the excessive prosperity of their family. We can see that the ‘opposing-dependent relationship’ of Yin and Yang in the <The Book of Changes> is used as a dramaturgy for the manufaturing of litarary principle or the elevation of literary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