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육선각>과 <한월>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근대 초기에 활자본의 형태로 출판된 소설들 중 특히 신소설로 분류되어 온 일련의 작품들이 실제로는 고소설ㆍ야담ㆍ설화 등의 다양한 전래 서사를 수용하여 집필된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먼저 <육선각>에는 <구운몽>의 양소유와 계섬월ㆍ정소저와의 결연담이 수용되어 있는데, 보다 직접적으로는 같은 에피소드를 수용하고 있는 후대의 또 다른 고소설 작품들인 <옥루몽>ㆍ<옥련몽>ㆍ<장국진전>ㆍ<김희경전>ㆍ<최보운전>ㆍ<칠선기봉①> 등으로부터 일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점에서 <육선각>의 남녀 결연 장면은 여러 편의 고소설 작품에 수용되어 있는 서사적 모티프의 조합적 활용을 통해 집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육선각>은 사건의 역전적 서술 및 인물 간의 대화를 이용한 장면 확대 등 신소설적 기법의 활용을 통해 서사가 변형ㆍ조합됨으로써 유사한 내용을 공유하고 있는 고소설들과는 확연한 차이점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이 작품을 단순히 활자본 고소설이라고 규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 또한 부정할 수 없다. 다음으로 <한월 상>의 경우는 전래 서사의 수용 및 조합 양상이 비교적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의 후반부 삽화는 대본-번안의 관계로 규정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19세기 후반의 한문소설 <옥선몽>과 뚜렷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월 상> 전반부의 에피소드가 19세기 말 ~ 20세기 초 사이에 형성된 <임호은전>의 전반부와 일정한 유사성을 띠고 있으며, 금동과 허소저의 의남매 결연담에 해당하는 부분 또한 19세기 말 ~ 20세기 초 사이에 집필된 것으로 추정되는 <역관 홍순언 이야기>의 이본인 <마원철록>과 유사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월 하>의 경우도 전래 서사 수용의 양상이 나타나는데, 이 작품의 환복(換服) 모티프는 기본적으로 <창선감의록>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보다 직접적인 유사성은 후대의 또 다른 고소설 작품인 <김윤전>과 <곽낭자전> 등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육선각>과 <한월>은 모두 전래 서사의 내러티브를 수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서사 조합을 통해 집필이 이루어진 작품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에서도 당대에 새롭게 형성되고 있었던 신소설의 기법이 활용됨으로써 근대적 변전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 또한 확인하였다. 한편 1914년에 출판된 <화수분>의 경우는 현재는 원전이 전하지 않는 관계로 수용 여부를 확증할 수는 없지만 김태준이 『조선소설사』에서 언급했던 『황강잡록(黃岡雜錄)』의 <청풍기(淸風記)>와 매우 유사한 화소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보아 이 작품 또한 전래 서사를 수용하여 신소설적인 형태로 변전시킨 작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사실들은 1900년대부터 시작되어 191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던 전래 서사의 수용ㆍ변형ㆍ조합이라는 현상이 단순히 특정한 작품들에서만 발견되는 예외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그 동안 신소설로 간주해 왔던 작품들의 일반적인 집필 방식으로서 신소설의 등장 초기부터 활용되어 왔으며, 이후 1910년대 초반에 활성화ㆍ보편화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이 시기의 활자본 소설에 대한 고찰이 확대된다면 유사한 사례를 추가로 확인하게 될 가능성 또한 높다는 점에서 활자본 소설 전반의 제재적 원천을 더욱 엄밀하게 규명하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focusing on work, such as <六仙閣> and <恨月>, series of works in the novel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a printed book of early modern, have been classified into sinsoseol in particular, actually it revealed the fact that was written and contains folk narratives a variety of such ancient novel. First, in the <六仙閣>, <九雲夢> is contained, but more directly, it is affected the same episode, certain old works of fiction <玉樓夢>ㆍ<玉蓮夢> etc. However, <六仙閣> is covalently similar content it may be to be found a clear difference full novel. For this reason, to define the type ancient novel simply this work is that there is a hard surface also not be denied. Next, the case of <恨月>, it can be compounded with the aspect receiving the legacy scribes is clearly appears relatively. Scenario example of the second half of this work in particular - it is not exaggeration to be defined in relation to adaptation, shows a clear similarity with the classical novel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玉仙夢> written in Chinese. As well, we carry a similarity and a constant first half of the <林虎隱傳> and the episode of <恨月> first half, was formed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六仙閣> and <恨月>, it is possible as well to accommodate the story of legacy scrivener all know the fact that the work of writing is per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inscription various eventually. In spite of this, it was confirmed also true in this work, and that the techniques of the new novel newly formed contemporary is utilized, modern substations plane that is displayed. The facts, rather than a thing exceptional for a specific work of art only have been found simply is initiated from the 1900's, the phenomenon of acceptance and transition of folk narratives appeared intensively in the early 1910's, the It is judged as written general method of work has been regarded as a sinsoseol inside, have been employed by the appearance early new novel, to be able to support the claims that are enabled and universal in the early 1910's after. If the discussion about novels of a printed book of this period have been grow in the future, in terms of potential to be confirmed by adding a similar cases also a high, to clarify more precisely the source vindicatory of print books novels general efforts must be accompan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