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과 일본이 <삼국지연의>를 수용하던 초기에는 역사 구연물이 주는 역사성과 주자학의 대의론 혹은 군신론 등 성리학적 정통론의 영향을 받아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서와 구별을 안 했거나 혼동해서 읽었다. 하지만 한국은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촉한에 대한 정통론적 대의명분을 직접 내세웠고, 일본은 한국과는 달리 남북조시대를 바라보는 자신들의 역사 정통론과 쇼군이 지배하는 막부 정권의 지배이념을 공고히 하는 데 <삼국지연의>를 활용하면서부터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한국은 상업출판이 성행하는 18세기 후반부터 경제적 여건상 거질의 한글 번역본 <삼국지연의>를 모두 판각할 수 없자 인기 있는 부분만 따로 떼어 새로운 이야기를 첨가해 기존의 <삼국지연의>와는 전혀 다른 삼국의 이야기를 만들었다. 때문에 수용초기보다는 교화적 측면이 약화되고 오락성이 강조되기도 했지만 <삼국지연의>가 주는 정통론적 대의명분은 계속해서 유지했다. 이러한 ‘전통적 대의론’이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중국과 잇닿은 지리적 여건상 중국의 정치 문화적 영향을 직접 받아야 했으며, 더 큰 이유는 성리학이라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삼국지연의>의 주제의식과 맞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일본은 <삼국지연의>가 일본어로 번역되면서부터 일본의 역사 정통과 군기 문화 등의 영향으로 일본풍이 가미되었고, 전통 연극인 가부키나 조루리로 공연되면서 정통론적 대의명분보다는 무사적 충의가 강조되었다. 특히, 일본의 대표적 조루리 작가로 알려진 지카마쓰 몬자에몬은 <삼국지연의>의 명장면들을 차용해 임금을 위한 충을 강조하였다. 게다가 <가나데혼 주신구라>의 작가로 알려진 다케다 이즈모는 지카마쓰와는 다르게 전체 내용을 <삼국지연의>로 구성하고 여기에 새로운 인물과 사건을 첨가해 독특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다케다는 이렇게 만들어진 이야기 속에 충의, 은애, 정녀 등의 유교적 도덕개념을 삽입해 완전히 새로운 일본풍의 <삼국지연의>를 창작해냈다. 이렇게 ‘무사적 충의론’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는 당연히 에도시대 막부 정권의 자연스런 현상일 수도 있겠지만 당시 가부키나 조루리의 관객이 서민이었다는 것을 보면 막부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공고히 하기 위함이 더 컸을 것이다.


Influenced by the historicity it possessed as a historical novel and the Confucian orthodoxy that appeared through the greater ca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rds and the retainers,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hereafter referred to as Romance) was often read indiscriminately with historical texts during the early period of its acceptance in Korea and Japan. However, Korea and Japan differed in their approaches to the Romance. While Korea set forth the orthodoxy and cause of the Kingdom of Shu Han based on its relationship with China, Japan used the Romance in order to solidify its historical view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ruling ideology of the shogunate. Since the late eighteenth century when commercial publication flourished, Korea started publishing newer versions of the Three Kingdoms narrative by selectively printing the popular part of the original Romance with the addition of new episodes. Although the commercial publication was flourishing in Korea, its economical condition limited the publishing huge volumes of the entire Korean translation of Romance. Hence, while the instructive aspects weakened and the entertaining aspects strengthened in comparison to the earlier versions, its orthodoxy and justification of cause continued to be maintained. Korea's geographical proximity to China put Korea under the direct cultural and political influence of China and moreover, the theme of Romance was befitting to the Confucian ideology. On the contrary,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Romance into Japanese, certain Japanese aspects were added, influenced by Japan's historical tradition and military culture. Also, when it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traditional plays such as kabuki or joruri, allegiance as the warrior was emphasized over the orthodoxy or greater cause. Chikamatsu Monzaemon, the renowned playwright of joruri, appropriated the famous scenes from Romance and underscored the allegiance to the king. Moreover, Takeda Izumo who is known as the writer of Kanadehon Chushingura, unlike Chikamatsu, rearranged the entire narrative according to Romance, added new characters and events, and created a unique narrative. By inserting the concepts pertaining to Confucian ethics such as loyalty, love, virtuous woman, etc. into this narrative, he created a completely different version of Japanesy Romance. One might say that stressing the allegiance of the warrior was a natural process that took place in the Edo bakufu. Ye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audience of kabuki or joruri were mostly laymen, it could be seen as the attempt to solidify the ruling ideology of the shogun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