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용궁부연록>의 창작과 김시습의 원각사(圓覺寺) 낙성회(落成會) 참석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다. 세조의 원각사 중건(重建)은 다양한 정치적 의미를 지닌 불사(佛事) 행위이다. 그는 정권의 부당성을 극복하고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정치적 행보를 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불사였다. 세조의 불사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원각사 중건이다. 그리고 그곳에 김시습이 초청되었고 그는 거기에서 돌아 온 후, 얼마 뒤에 『금오신화』를 엮었다. 따라서 본고는 <용궁부연록>의 창작과 김시습의 원각사 낙성회 참석이 일정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2장에서는 원각사 중건의 의미를 살폈으며, 3장에서는 <용궁부연록>의 작품 세계를 원각사 낙성회와 연관해서 고찰하였다. 2장의 논의 결과, 세조의 원각사 중건은 결국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한 불사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3장에서는 작품에 등장하는 윤필연(潤筆宴)의 팔풍무(八風舞)와 구공무(九功舞) 장면, 한생의 용궁 구경 장면, 용왕의 환송 선물 등이 각각 원각사 낙성회의 연회, 원각사의 가람, 세조의 도첩 수여 등과 연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4장에서는 작품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한생이 산으로 간 것은 윤필연에서 유학적 질서가 전도된 상황을 접하고 용궁 구경을 통해 용왕의 강력한 패도정치를 확인함으로써 이러한 세계에서는 스스로가 어떠한 역할도 할 수 없는 무기력하고 나약한 존재라는 점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는 낙성회를 통해 세조의 강력한 패도정치를 확인한 김시습 자신이 궁극적으로 지향할 것은 산수를 통한 물외라는 깨달음으로 인해 현실 세계를 떠나려는 의지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 세계는 원각사 낙성회를 중심으로 펼쳐진 세조의 불사 정치에 대한 김시습의 내면 의식을 반영한 결과이며 이것이 <용궁부연록>의 창작 의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Yonggungbuyeongrok> by focusing associations between the creation of the novel and Kim Si-seup’s participation in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Wongak Buddhist Temple. King Sejo’s reconstruction of the Wongak Buddhist temple was a Buddhist project that had diverse political meanings. In order to overcome the illegitimacy of his regime and firmly maintain his power, the king took a variety of political actions. One of them was to implement Buddhist projects. Among those projects, the most important was reconstructing the Wongak Buddhist temple. Kim Si-seup was invited to the event celebrating the reconstruction, and after a while, he created a series of five novels one of which is <Yonggungbuyeonrok>. Thus, this study started from raising a question that asks whether the novelist’s writing of <Yonggungbuyeonrok> is associated with his participation in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temple. To get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 Chapter 2 examined implications that King Sejo’s reconstruction of the Wongok Buddhist Temple may have. And Chapter 3 considered <Yonggungbuyeonrok> by relating it to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temple. Discussions in Chapter indicat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Wongak Buddhist temple was a project through which King Sejo strongly intended to strengthen his political position. Chapter 3 clearly suggested it is possible that different scenes depicted in the novel such as performing palpung and gugong dances at the event named Yunpilyeon, Han Saeng’s inspecting the palace of the Sea King and giving gifts by the Sea King to Han Saeng as a part of send-off may be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the banquet during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Wongak Buddhist temple in which Kim Si-seup participated, Sangharama in the temple and conferring docheop, or Buddhist certificates by King Sejo. Considering this possibility, Chapter 4 interpreted implications that <Yonggungbuyeonrok> have in the following. In the novel, Han Seang finally left for mountains presumedly because the upset of Confucian orders at Yunpilyeon and the Sea King’s suppressive ruling by force made him realize that he’s nothing but being vulnerable there, so he could not do anything and that the ultimate pursuit by him is out of the objects, or in natural things like mountains and waters. This may properly reflect inner emotions that Kim Si-seup had in mi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of dedication ceremonies at the Wongak Buddhist te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