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미디어 변환에 입각하여,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刪正)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지니는 문학사적 성격과 의의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해보려는 데에 있다. 이해조의 산정이, 판소리를 근대 문자미디어[문자+책+인쇄]로 변환한 작업이라는 사실은, 우선 그 텍스트들이 『매일신보』에 최초 게재될 때 명시돼있었던 산정과 관련한 사실적 정보[(春香歌 講演)-名唱 朴起弘 調-解觀子 刪正: <옥중화>의 경우]에 근거한다. 이 정보는 단행본에서도 축소된 형태[(春香歌 演訂): 『옥중화』의 경우]이지만 명시됐었다. 더욱이 단행본화 과정에서 이뤄진 작업은 통상적인 수준의 교정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애초 산정의 기조는 그대로 유지됐던 것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이 글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 작업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미디어 변환에 입각한 고찰이 시도돼본 일이 없었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을 일반적인 개작으로 간주하고, 선별된 이본과의 내용 비교를 통하여, 산정된 텍스트들에 문학사적 평가를 내리는 데 주력해왔다. 다만 최근의 연구들 중에는 근대 신문 또는 출판을 콘텍스트 차원에서 논급한 경우가 더러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논점 및 논거들이 미디어 변환으로서의 산정을 해명해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해조의 산정 텍스트들이 각 계열에서 중심을 차지했다는 기존 논지의 반복적 강화에 다소 기여할 수 있을 뿐이라고 판단되는 까닭에서다. 이 글은 선행연구들에서 소상하게 이뤄졌던바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준하는 내용 분석의 기반 위에서, 미디어 변환 자체의 효과를 탐색하는 데 주력하였다. 어쨌든 선행연구들은 미디어 변환의 이전-이후 텍스트 간 비교를 수행했던 셈인데, 그 논의들을 살펴볼 때 결과물로서의 양 텍스트 간에서는 유의미한 미디어적 차이가 거의 발생되지 않음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미상불 선행연구들이 상호미디어성(intermediacy)을 취하지 않은 또는 못한 이유는 바로 결과물들 간의 미디어적 상등성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구술성 대 문자성’의 미디어 비교 관점을 간과하지는 않되, 그보다는 미디어 변환 자체의 효과에 주목하기 위해 재매개론(Remediation)에 입각한 텍스트 분석 및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효과와 미학은, 비매개된(mediated transparently) ‘현장’(←판소리←명창)에 하이퍼매개성(hypermediacy)을 띤 작가(→텍스트→현장)가 출입함으로써 고취된 ‘현장성’이라고 정리되었으며,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문학-미디어적 성격은 ‘현장(성)의 재매개’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기존 연구들에 비해 그다지 새롭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논의가 동일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미디어 변환을 연구하는 유효한 시각과 방법론이라는 점은 더 확장된 사례들을 통해 보완 및 지지될 필요가 있다. 즉 이 글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 텍스트들 중에서 <옥중화>의 분석 결과에만 의존한 것이므로, 시론(試論)으로서 두 갈래의 후속 연구를 예비하게 된다. 하나는 이해조의 다른 산정 텍스트들[<강상련>, <연의각>, <토의간>] 분석을 통한 이 글 논지의 확장-일반화이며, 다른 하나는 비슷한 시기에 <춘향전>을 재매개했던 한국문학사의 다른 두 거물의 텍스트[<고본춘향전>(최남선), <일설춘향전>(이광수)]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 근대 초기 서사[소설]문학사의 보완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new perspectives on the literature‒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that Pansori Sanjeong by Lee Haejo has as literature, by analyzing it in terms of media transformation. It has been proved that the Sanjeong of Lee Haejo is a work of transforming Pansori into modern literature media(letter+book+ press)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Maeilshinbo which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 scripts, or the texts of Sanjeong. Even though such information can be found in an abstract volume, the necessary information was clearly stated in Maeilshinbo. Furthermore, the process of publishing a separated volume prevented it from going beyond the simple proofreading, which in turn helps the original contexts of Sanjeong remained unchanged. Given the proposition above, a question seems to arise that there have not had any attempts to investigate media transform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which do research on Lee Haejo’s Pansori Sanjeong. The previous studies seem to focus more on how to evaluate the historic value of texts of Sanjeong as a literature by comparing the contents selected from different versions. This is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consider Lee Haejo’s Pansori Sanjeong as an ordinary adaptation. There are some of studies in recent years that discuss the modern newspapers or publications in the light of its contexts. However, such a perspective or discussion seems to fail to fully explain Sanjeong in terms of media transformation. The only contribution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made is more or less to strengthen the repetitive viewpoints that the text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took the central position in each branch. This article tries to focus on exploring the effects themselves of media transformation by means of the content analysis which is parallel to intertextuality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us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previous studies simply compared the media transformation which occurred in previous literature to which occurred later. This type of studies can only help to conclude that there we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and later literature in terms of texts. The reason that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or could not consider intermediality in their studies is because of mediacy superiority among research results. In this sense, this article performed text analysis as well as text comparison in terms of remediation in order to emphasize the effects of media transformation. It also di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perspectives of orality and literacy. This articl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effects and aesthetic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are the result of on-site characteristics which is empowered by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author (text-the onsite) with hypermediacy to on-site which was transparently mediated. It also concluded that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is on-site remediation. The article depends to a great degree upon the analytical results of Okjooghwa among other text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so that it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need to examine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one is to generalize this article by means of analyzing Lee Haejo’s other Pansori Sanjeong texts Kangsangryun, Eunyeokgak, and Toyeogan. The other is to compare the points of this article with the ChunHyang‒jeon texts remediated by two great novelists, Gobon ChunHyang-jeon by Choi Namsun and Ilseol ChunHyang-jeon by Lee Gwang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