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羅獻容의 <陳玄傳>과 <楮先生傳>을 대상으로 사건구성 및 유형적 특성, 소재의 취용 양상과 寓意的 의미를 고찰하고 그 문학사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나헌용(1851∼1925)의 蕙田集 권5에 수록된 <中書門下同平章事 管城侯 毛 君 墓誌銘>, <卽墨大夫 封石鄕侯 石君 墓碣銘>, <陳玄傳>, <楮先生傳>은 각각붓 벼루 먹 종이 순으로 문방사우 전체를 墓誌銘, 墓碣銘, 假傳 양식 안에 담아擬人文學의 영역을 확대해 놓은 주목되는 문학유산이다. 이들 작품은 假傳의 효시격인 한유의 <毛潁傳>은 물론, 文嵩의 <文嵩四侯 傳>을 규범으로 삼고 있으면서도, 소재의 활용에 있어서 창의적으로 계승 발전시킨 면에서 문학사적 가치가 적지 않다. 이들 작품은 적절한 인용 고사와 용어 선택 및 소재의 취용에 이르기까지, 불필요한 고사성어의 남용을 절제하고 최소화하는 가운데, 이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나헌용은 儒家的 글쓰기 방식을 원용하여 儒家로서 학업과 덕행에 힘쓰고 修 身과 處世에 관련된 교훈적인 勸戒 지향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심오한 함축적 의미를 내포한 寓意的인 수법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鑑戒 교훈적인 함축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우의적인 수법을 잘 활용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陳玄傳>과 <楮先生傳>의 경우, 불필요한 인용 고사를 대폭 축소하고 모두論評部를 과감히 생략하였다. <陳玄傳>은 利他적 행위, 참 自我의 완성과 他我 의 성취를, <楮先生傳>은 바탕과 본질의 조화, 자기 성찰 및 사람의 결점을 고치고 장점을 발휘하는 刮垢磨光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다. 假傳 작품을 통해 선인들의 질박하고 꾸밈없는 삶의 자세를 발견하고, 작품속에서 추구하는 신념과 가치관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가전문학사적 가치가 크다고 보았다.


The aim of this thesis on Na Hunyong's <Jinhyunjeon>, <Jeosun saengjeon> is to consider the selection aspects of certain material and allegorical meanings of Gajeon literature, looking into its place and status in literary history. Volume Five of Na Hunyong's Hyejeonjip contains <Jungseomunha dongpyongjangsaKwansunghuMogunMyojimyong>, <JeukmookdaebuBong SeokhyanghuSeuokkunMyogalmoung>, <Jinhyunjeon> and <Jeosunsaen gjeon>, which are noteworthy assets and which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realm of impersonation literature representing respectively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 (a wring brush, an ink stone, an ink stick, paper) through Myojimyoung, Myogalmoung, and Gajeon styles. These works are modeled not only after Hanyu's <Moyoungjeon>, a pioneering work in Gajeon literature but also after Moonseung's <MoonseungSahujeon>, and these were developed by the addition of creative form and substance through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the subject matter. Consequently, they have significant literary value. These works are highly appreciated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author restrained and minimized unnecessary fables and phrases from proper alluded historical events to the diction and borrowing of material, making full use of these systematically. Na Hunyong utilized a writing method based on Confucianist ideology, and he got full mileage out of an allegorical method involving profound connotative meanings to effectively express the aim of warning against related moral trainings and the art of living to strive for disciplined study and correct moral conduct as a Confucianist. In addition, this method allows for applying allegorical techniques to effectively represent instructive and implied meanings. In the case of <Jinhyunjeon> and <Jeosunsaengjeon>, not only were unnecessarily quoted historical events greatly shortened but all of Nonpyunbu was boldly omitted. In <Jinhyunjeon>, acts of altruism, actualization of the real self, and fulfillment of the other self were highlighted, whereas <Jeosunsaengjeon> stressed on an attitude of harmonization of the base and essence, self-examination, and Gwalgumakwang—namely, honing strengths while overcoming shortcomings. In light of the fact that we understand our ancestors’ simple and plain attitudes in life through Gajeon literature and can ascertain faith and related values as described in the works, their valu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not be underestim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