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교 우위로서의 인적 자원의 가치가 강조되는 요즘, 기업의 CSR 활동이 미래의 구직자를 유인하는 데 있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CSR 활동의 적극성과 CSR 활동의 목적에 대한 귀인이라는 두 가지 변인 측면에서 CSR 활동의 효과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CSR 활동 목적에 대한 귀인이 명백한 주효과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구직자들 사이에서 기업의 CSR 활동이 기업의 이윤을 위한 것으로 인식되었을 때 오히려 기업에 대한 반감과 불신이 증폭되어, 그 기업에서 일하고자 하는 구직자의 의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SR 활동의 적극성과 CSR 활동 목적에 대한 귀인은 그 상호작용 효과가 입증되었는데 이는 기업의 CSR 활동이 구직자의 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CSR 활동의 목적에 대한 귀인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적극적 CSR 활동의 효과는 그 목적이 공익 도모에 있다고 귀인한 구직자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CSR 활동의 적극성이라는 변인 자체는 구직자의 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공중들의 반응이 제품 선택 및 구매 행위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들이 조직과 다면적이고 동시적인 이해관계자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on job applicants’ job pursuit intentions focusing on the types of CSR activities (proactive/reactive) and types of attributions to the purposes of the CSR activities (cause beneficial/cause exploitive). The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 of attributions to the purposes of the CSR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job pursuit intentions. This revealed if the CSR activities were attributed to be cause-exploitive then job applicants developed distrust about the activities and reduced job pursuit intentions. Also,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s of the CSR activities and purposes of the CSR activities, indicating that the effect of CSR activities on job pursuit intentions was moderated by the purposes of the CSR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main effect of the extent of the CSR activities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is research was significant in that it showed that corporations’ stakeholders develop and maintain multifaceted and spontaneous relationships with the corporations such as job pursuit, as well as product choice and product purc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