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후기에서 청소년초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내재화 문제 발달궤적 및 발달궤적 예측요인의 성별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구축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 패널의 1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성장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후기에서 청소년초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내재화 문제의 종단적 변화양상은 남녀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초기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변화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내재화 문제가 좀 더 빠른 속도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종단적 변화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성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내재화 문제 초기값에는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 성역할 고정관념, 부부갈등, 학교적응, 지역사회감독이 영향을 미쳤으며, 내재화 문제 변화율에는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 성역할 고정관념, 가족결손, 학교적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 성역할 고정관념, 자녀학대, 또래애착, 학교적응이 내재화 문제 초기값에 영향을 미쳤으며, 내재화 문제 변화율에는 부정적 자아개념, 성역할 고정관념, 또래애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후기에서 청소년초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내재화 문제 발달궤적 및 발달궤적 예측요인의 성차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trajectory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predictors over five years from late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Five-wave data were drawn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 longitudinal panel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graders. The Sample consisted of 2,844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YPS. Latent Growth Curve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gender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trajectory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predictors. AMOS 19.0 and SPSS 15.0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initial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tween boys and girls,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ate of change. The girls exhibited faster increace in internalizing problem over time. Second,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dictors affecting the internalizing problem. For girls, self-esteem, negative self-concept, gender role stereotype, marital conflict, school adjustment, community monitoring wer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self-esteem, negative self-concept, gender role stereotype, single parent family, school adjustment, community monitoring were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of internalizing problem. For boys, self-esteem, negative self-concept, gender role stereotype, child abuse, marital conflict, peer attachment, school adjust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negative self-concept, gender role stereotype, peer attach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of internalizing problem.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