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4년제 사립대학교에서 학사경고를 경험한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학생활과정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학사경고 상태에 이르게 된 요인과 이후 학업을 지속시키게 된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고 향후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 적응을 위한 대학 및 개인의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사경고에 이르게 된 요인은 대학환경요인과 개인 내적 요인 등 두 개 영역으로 나뉘었다. 대학환경요인에는 대학 및 전공에 대한 기대 불일치, 변화된 환경에의 부적응이 하위 범주로 포함되었고 개인 내적 요인에는 적극적인 학사정보 수집능력의 부족, 유용한 대인관계망 부족, 자기중심적 조망, 자기조절능력 부족이 포함되었다. 둘째, 학업지속요인은 외적 요인과 개인 내적 요인 등 두 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외적 요인에는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고, 개인 내적요인에는 삶에 대한 책임감 수용, 미래에 대한 심리적 불안 및 현실인식 제고, 그리고 대학수업방식에의 적응 등 3개 하위범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시사점과 제한점을 덧붙였다.


This focus group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life experiences among female college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academic probation at a 4-year private university in Seoul. We explored the factors for academic proba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after being placed on academic prob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factors that individual faculty, staff, and students can do to promote the college adjustment of freshman undergraduates. Results indicated that (a) two factors(college environmental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contributed to academic probation. First, colleg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students' unmet expectations regarding college and their study, and maladjustment to new environment. Second, personal factors included failure to actively gather academic information, lack of supportive social network, self-centered perspective taking, and ineffective self-regulation; (b) fac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persistence were classified into two domains: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The external factors included social support, and the internal factors consisted of acceptance for responsibility for life, enhancing anxieties for future and recognition of reality, and adjustment to learning styles in colleg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