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주요 애착 유형인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통합적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패널 중 2에서 고 3까지의 5차년도 데이터와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애착의 영향 요인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비행 모두는 5년 동안 증가 추세로 나타났으며, 초기값과 변화율의 분산값이 유의미함으로써 개인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애착 유형과 비행 간 종단적 관계에서는 부모애착의 영향력이 횡단적․종단적으로 나타남으로써, 타 애착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즉, 부모애착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비행 초기값이 낮고, 부모애착이 빠르게 증가할수록 비행이 느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은 초기값에 한해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또래애착의 경우에는 부모애착 및 교사애착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으며, 또래애착 초기값이 높을수록 비행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셋째, 청소년의 성별, 모의 취업 여부, 부모의 부부갈등 수준에 따른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약모형과 비제약 모형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세부 경로치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애착과 비행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mprehensive and longitudinal impacts of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in adolescent delinquency. This study used 5-year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middle school 2 to high school 3 of Korea Youth Panel Survey and latent growth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were on the rise for 5-year, also the first year intercept and the slope variance of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year intercept and the 5-year slope of individual. Secondly, parent attachment was proved to hav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influences on delinquency. This meant that the higher the intercept of parent attachment was, the lower the intercept of delinquency was, the faster the rate of parent attachment increased, the slower the rate of delinquency increased. But peer and teacher attachment were proved to have cross-sectional influence on delinquency only the first year intercept. Specially, the peer attachment had contrary finding, the higher the intercept of peer attachment was, the higher the intercept of delinquency. Thirdly,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group analysis regarding gender, mother's employment status, level of martial conflict. Depending on gender, mother's employment status, level of martial conflic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el with restrictions and the model with no restric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attachment and delinquency in adolesc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