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의존, 유해매체 이용, 공격성 사이에 순환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인지 확인함으로써 관련 문제의 예방과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 세 변수 사이의 순환적 관계를 가정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중1패널의 제4차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구방정식모형 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과 연구가설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검증 대상으로 설정한 4개의 연구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이 심각할수록 유해매체 이용이 더 많다. 둘째, 고등학생의 유해매체 이용이 많을수록 공격성이 더 심하다. 셋째, 고등학생의 공격성이 심할수록 휴대전화 의존이 더 심각하다. 넷째,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유해매체 이용, 공격성 간에는 순환적 영향관계가 존재한다. 아울러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과 유해매체에의 노출 및 공격성 문제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ㆍ실천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특히 세 연구변수들 사이에 순환적 영향관계가 존재하므로 순환 고리 가운데 어느 한 지점에서라도 효과적인 개입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circulativ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e, harmful media use, and aggress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proposed circulative model between the three variables had been identifie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ourth wav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0 (KCYPS 2010). It was found that all the four hypotheses were supported by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primar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of mobile phone dependence caused students to more frequently use harmful media. Second, a rise in harmful media use made students more aggressive. Third, more aggressive students relied heavily on the mobile phone. Fourth, there could be a circulativ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e, harmful media use, and aggres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cusing on practical interventions which could be implemented on any point in the circu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A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also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