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자아존중감, 또래 애착, 지역사회 친밀감을 설정하고, 이 변인들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중1 패널의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또래 애착은 자아존중감,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으나, 지역사회 친밀감과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친밀감이 다른 변인들보다 직접적으로 다문화 수용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년들의 지역사회와 연계한 활동 프로그램, 자아존중감과 또래 관계가 연합되어 있는 집단 프로그램,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학생들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의 구체적인 청소년 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al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peer attachment, community clos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third year survey data of the middle school year 1 panel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hich wa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er attachment showed perfect med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but didn't mediate between community clos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 the community closeness 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acceptance strongly than any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pecific welfare programs were proposed to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