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와 이 조절효과의 성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데이터에서 중 1 패널의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폰 의존은 중 1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자아존중감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휴대폰 의존이 낮은 집단과 비교하여 휴대폰 의존이 높은 집단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아도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측면을 크게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휴대폰 의존이 낮은 집단에서는 휴대폰 의존으로 인한 낮은 학교적응을 자아존중감이 경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남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높고 낮음에 따른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지 않는 반면에, 여학생은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일수록 휴대폰 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는 여학생 집단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과 학교적응과의 부정적인 관계가 조절변인인 자아존중감과 성별에 따라 영향력이 달리 나타날 수 있음에 주목하여 학교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gender difference of interac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rst wave of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ample included 1,176 boys and 1,175 girl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bile-phone dependency influenced negatively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effect of self-esteem was different conditional on the level of mobile-phone dependency. In the group with low level of mobile-phone dependency, self-esteem could moder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mobile-phone dependency on school adjustment while self-esteem could not affect in the group with high-level dependency. Third,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For girls, self-esteem impa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but for boys, self-esteem did no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practic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