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 진로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이론적 배경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 진로성숙 발달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4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경로와 성별에 따른 경로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부모애착과 친구애착의 경우에는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교사애착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애착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 간에서는 완전매개를, 친구애착, 교사애착과 진로성숙도 간에서는 부분매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들 간의 성별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의 경우에는 여학생이, 친구애착과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는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진로성숙에 이르는 구조모형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없었으며, 개별경로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부모애착에서 자기효능감에 이르는 한개 경로에서 여학생의 경우 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에서 자기효능감의 증진의 필요성과 성별에 따른 진로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also considered. This study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fourth wave of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s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levels of parental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increase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However, teacher 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Second,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pathway from attachment to career maturity. Fifth, several gender differences were discovered in the levels of variables.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However, peer attachment and self-efficacy of male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terms of the effect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efficacy. However, the path coefficient from parental attachment to self-efficacy showed a gender difference.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practice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