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 들어가는 말 한국교회의 인도선교는 1980년 11월 통합측 김영자 선교사가 안드라쁘라데쉬 주 하이더라바드(Hyderabad) 에 첫발을 디딘 이후 30년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 약 300여 가정의 선교사가 수도 델리와 남인도의 실리콘 밸리인 방갈로를 중심으로 인도 각처에 산개하여 활발하게 사역하고 있다. 올해 8월 14일 한국과 인도가 그동안 오랫동안 준비해오던 자유무역협정(CEPA)을 체결함으로써 한국 인도 간 사업과 사람 왕래가 급증하고 인도 선교사 파송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첫 인도 선교사였던 김영자 선교사가 최근에 은퇴를 하는 시점에서 한 세대에 이르는 한국의 인도 선교를 회고해 보며 그 사역의 공과를 평가해 보고 향후 인도 선교의 과제를 모색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하겠다. 1970년대 중반 인도 정부가 선교사 비자 발급을 중단하면서 서구 선교사 숫자가 급격히 줄게 되었는데, 1980년대부터 비서구권 선교사로서 그 빈자리를 꾸준하게 채운 것이 바로 한국 선교사들이었다. 한국 선교사들은 특히 서구권 선교사들이 가장 어렵게 여기는 교회개척 사역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함으로써 인도 복음화에 그동안 적지 않은 공헌을 한 것이 사실이다. 그 외에도 현지인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교 사역, 초중고 대학 등 학교 사역, 고아원 사역, 농촌 개발 사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도 복음화를 위해 헌신해 왔다. 어느 나라에서 일하든 선교사로 사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인도와 같이 무덥고, 공해가 심하며, 한국음식 구하기 어렵고, 선교에 대해서도 부정적이며, 추방과 테러와 죽음의 위험이 상존하는 오지 인도에서 선교사로 살아가는 것, 이 한 가지만 해도 그들은 존경받기에 마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선교사들이 사역하고 있는 현장은 과거 인도에서 활동했던 서구 선교사들의 실패의 전철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첫째로 한국 선교사들은 200년 이상 인도선교의 경험을 갖고 있는 영국 및 제 서구 선교사들로부터 무엇을 배우고 무엇은 버려야 할 것인지에 관해 어떤 연구도 해본 바가 없기 때문이다. 영국인들이 반복해서 실패했던 문제가 있다면 우리라고 예외가 아닐 텐데 우리는 그것이 무엇인지도 모르기 때문에 그 실패를 막기 위한 어떤 노력도 체계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로 타국 선교사의 선교에 대한 인도인의 평가, 인도 교회의 반응에 대해서는 고려함이 없이 일방적으로 선교사역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의 내부자적 관점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외부자인 선교사 중심으로 결정되는 선교정책과 이뤄지는 사역은 우리가 열심을 내어 선교하는 만큼 현지 교회를 파괴하거나 현지 복음화에 해를 끼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셋째로 현지문화에 비추어 선교사역을 평가하고 재조정함이 없거나 빈약하기 때문이다. 많은 선교사들이 사역에 바쁘고 언어의 제약과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등으로 인하여 현지문화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부족하다. 그리하여 문화에 맞는 선교사 메시지와 사역 형태, 선교 정책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선교사의 메시지 전달이 성공적이지 못하고, 사역은 현지 문화로부터 유리되고 소외되며, 부정적인 인상을 축적하고 있을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이다. 이 글은 그동안 한국 선교사들이 30년 간 해온 선교사역에 대하여 주로 현지인과 현지 문화의 관점에서 평가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서구의 200년간에 이르는 인도선교 역사와는 달리 30년간의 일천한 역사에 불과함으로 현지인이 직접적으로 한국 선교에 대해 비평한 문헌은 아직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선교사들이 사역하고 있는 것과 같은 형태의 서구 선교사들의 사역에 대하여 언급한 인도 교회 지도자들의 글은 얼마든지 발견할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인도 교회로부터 비판받는 패러다임의 선교사역이 어떤 것인지, 또한 인도 복음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선교사역이 무엇인지 제시함으로써 다음 세대 인도선교 사역의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r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Korean missionary Youngja Kim had arrived in India in 1980. Korean missionaries have filled up the vacancy of Western missionaries after they had gone home. They have done excellent job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church planting where the Western missionaries found it hard. Unfortunately, however, Korean missionaries have worked tirelessly without having any chance to get feedback from Indian natives and churches. This article shows the present situation and some problems of Korean missions. Its aim is to evaluate Korean missions in India by the reflection on Indian culture and Indian critic of foreign missions carried out in India. Korean missionaries have worked mainly among so-called the scheduled caste people and the scheduled tribe, namely the lowest strata of Indian society. The religion of S. C. and the S. T. is Buddhism, Sikhism, Animism and Totemism unlike the mainline Hinduism. The Korean missionaries' work is mostly focused on church planting, along with teaching ministry in seminaries and schools, and social service. Indian Christians examined themselves and confessed that 90% of their evangelistic efforts are carried out among about 4% Christians of their country. They proposed that their focused missionary efforts should be made among the main line caste Hindus who have not heard the Gospel. Secondly, Indian Christian leaders like R. C. Das demanded that foreign financial assistance should be stopped right now unless western missionaries would ruin the native initiative and the spirit of self-reliance which is essential to the fulfillment of Indian evangelism. Thirdly, they suggested that church building is culturally irrelevant in India where spirituality is raised by parents and elders rather than by the appointed paid Christian workers. Based on these criticism, Korean missionaries have to shift the traditional paradigm of missions in India as following. First, Korean missionaries should strike a balance by focusing on missions among the higher caste Hindus or middle class people in cities. Second, Korean missionaries should stop the financial assistance to the Indian workers and churches, and rather plant the independent spirit and the gospel fa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