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G시에 소재한 유치원의 만5세 유아 160명을 선정하여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창의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r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리기 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은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기표상능력에 대한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의 영향력 분석 결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 모두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creativ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60 children whose mean age was 68.93 months. It used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K-WPPSI and TTCT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creativity. It was also revealed that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creativity are the predict variables to have influence up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