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멘토링의 실태 및 이에 대한 교사의 요구 및 효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현장에 필요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할 수 있으며 멘토링 교육 및 멘토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은 멘토링 경험이 있는 부산시 유치원 교사 15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치원 멘토링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들은 1학기에 2~3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수업연구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내용이 많이 진행되고 있었다. 멘토는 대체로 동료교사, 부장교사, 원감이었으며 멘토링 장학 평가방법은 협의나 자기평가로 이루어졌다. 둘째, 멘토링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 시 교수․학습 방법의 내용으로 수업연구 또는 협의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를 요구하였다. 넷째, 멘토링 진행시 편안한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며, 시간적 부족에 따른 멘토링 시스템 구축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ntoring and recognition of requirements & effects of teachers for kindergarten mentoring.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59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kindergarten mentoring in Busan.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utilized based on Park Min Buk (2006), Jang Youn Joung (2007) & Mun Buk Jin (2002). Using the PASW 18.0 statistic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deviation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are used mentoring are two or three times every semester and mentoring is performed with contents of teaching method mostly in the open classes. Mentors are usually a colleague, a head teacher or the director of a kindergarten. The method of evaluation is through discussion and self-evaluation. Second, the teachers generally recognize highly the effect of kindergarten mentoring. Third, while mentoring is performed, it is required that the contents or method of mentoring is mainly open class and discussion between mentor and mentee. Lastly, a comfortable environment must be established while mentoring is performed and mentoring techniques must be developed due to a lack of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