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아와 아버지 놀이참여간의 가상놀이(탐험, 복합, 상징놀이) 유형 및 유아혼자 놀이간의 가상놀이에서 인지능력의 차이도, 대화 및 상호작용에 따라, 그리고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각각의 세 놀이형태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주고 있으며 특히 상징놀이에서는 유아와 아버지 놀이참여간의 유의한 차이도를 보여주어 상징놀이가 지니고 있는 본래의 의미와 취지를 나타내 주었다. 둘째, 아버지와 유아간의 대화/에피소드에서는 아버지 참여시 유아들은 가상놀이에 더욱 집중하며, 관심을 끌려는 시도를 많이 하였고 가상놀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아버지 방관시에는 유아들이 놀이에 집중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와 아들간의 가상놀이는 조화와 협동적인 놀이 및 다양한 신체활동을 추구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에서 각 유아에 대한 아버지의 관심과 참여는 자녀에게 놀이를 통한 교육적인 기회를 제공하여 독서, 퍼즐, 조작놀이에 참여함으로 말미암아 자녀에 대한 배려와 상호작용, 그리고 지속적이고 온화한 대화의 분위기를 창출하려는 의지가 작용하였던 것으로 엿볼 수 있었다. 셋째, 성별 차이를 몇 차례 관찰한 결과 여아들보다는 남아들에게서 약간 거칠고 신체적인 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여아들은 가작화 활동 같은 조용한 놀이에 열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유아들의 경우 만 3세 유아들보다는 만 4세 유아들에게서 적극적인 놀이형태의 탐험놀이, 복합놀이 및 상징놀이를 추구하여 보다 활동적이고 창의적인 놀이형태가 이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ildren's pretend play alone with their fathers. The primary objectives were to observe how fathers' involvement may contribute to children's early play behavior to understand the extent to which father-child interactive play involves pretend, to describe father-child pretend play, and to examine fathers' beliefs about children's play. Thirty-two children were videotaped in the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while playing alone with their fathers to understand how fathers contribute to children's pretend play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their pretend play involves exploratory play, combinational play and symbolic play to describe father-child pretend play, and to examine fathers' beliefs about children's play. Children engaged in more exploratory play alone and engaged in more symbolic level play with their father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fathers' play behaviors and in the thematic content of pretend play episodes. And also, fathers played with their sons more positively than their daughters with implicit guidance. Father-son pairs engaged in vehicle play and father-daughter pairs played domestic them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arly differential socialization of boys and girls is apparent in father-child pretend play. Further, the finding that children engaged in more frequent symbolic level play with their fathers than when they played alone is consistent with research reported for mother-child pretend play. Also, children who experienced playing pretend with their fathers in the home accounted for the greater proportion of symbolic level play in the laboratory setting. Finally, there may also be a relationship between complexity of play behavior and thematic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