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천시의 S유치원 학부모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총 13주였으며, 이 기간 동안 실험집단 부모들에게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부모의 자아상태, 자기분화, 양육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는 독립표본 t-검증 또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부모의 자아상태 전체와 하위영역인 양육적 부모, 자유로운 아동, 성인 자아상태가 비교집단 부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분화 점수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의 자기분화 전체와 하위요인 중 자기입장 견지하기 및 역문항으로 구성된 감정적 반응하기, 타인과 융해되기, 정서적 영향받기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부모의 양육태도 또한 양육태도 전체점수의 변화가 실험집단 부모에게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하위항목 중, 거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부모의 정서적 양육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the program by increasing emotional parenting competency of parents by applying it to parents with children.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t was applied to Thirty-six mothers who had 3-, 4-, 5-year olds participated. There were three main results. First, a score of 'ego-state' of parents in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is was shown in sub-elements of 'ego- state': 'nurtural parent ego-state', 'free child ego-state', and 'adult ego-st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hanges of parental ego-state. Second, a score of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in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This was shown in sub-elements of 'self-differentiation': 'taking an I position‘, ’emotional reactivity', 'fusion with others', and 'emotional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hanges of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Third, a score of 'parenting attitudes'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experiment group, more so than in the control group. This was shown in sub-elements of 'parenting attitudes': the scores of 'rejective attitudes' and 'control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s on parenting attitude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r increasing emotional parenting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s on parent ego-states,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is program can be a useful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it would thus be efficiently used to improve emotional parenting competency of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