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의 관점에 기반을 두고 영·유아교사들이 지각하는 행복감과 개인적 자원으로서의 영성 및 조직적 자원으로서의 기관 내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92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행복과 영성 및 사회적 지지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행복감(목적변수)에 대한 영성과 사회적 지지(투입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영성과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영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정변수들 간에도 대부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성의 하위요인 중 ‘삶의 의미와 목적’과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가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해 영향력이 높은 예측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영·유아교사의 행복을 증진하는 방안으로서 영성연구의 활성화 및 영성지향 교사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show the relationships in term of spirituality (i.e., meaning and purpose in life, inner resources, interconnectedness, and transcendence)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 or co-workers (i.e. informational, emotional, tangible, and evaluative support) with happiness perceiv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on the data from a sample of 292 teachers. The results offered (1) th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s of three sets of variables which teachers' happiness links with their spirituality and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work place, and (2) two regression functions that 'the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nd 'emotional support' are relatively powerful variables to predict happiness of teacher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sufficient supportive emotional resources available in their work as well as one's own spiritual resourc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investigation in terms of spirituality dimension in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