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수학활동 및 프로그램이 수학적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련 연구들의 연도별 전반적인 경향과 메타분석을 통해 교수학습 접근 및 운영방법, 그리고 측정변인에 따른 수학적 소양에 대한 효과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03년부터 2012년 전반기까지 국내 유아교육관련 등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유아수학활동 및 프로그램효과검증이 수행된 28편의 실험연구들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2003년부터 2012년 전반기까지 유아의 수학활동 및 프로그램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2010년을 기점으로 연구의 수가 감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수학활동 및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일상적 문제해결 상황의 수학개념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멀티미디어 수학동화프로그램이 수학적 태도에서 효과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학습 접근 및 운영방법은 일상적 문제해결을 통한 방법이 수학적 소양 평균효과 크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운영변인에서는 실험집단의 수가 31명 이상, 회기는 31-35회, 시간은 30-40분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측정변인들 가운데 수학적 문제해결 변인의 평균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수학활동 및 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체계적인 지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hematic activity and program studie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28 studies that were conducted from 2003 to 2012 were meta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overall tendency of mathematic program studies for young children consistently increased until 2009, but has decreased since 2009. Secondly, meta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effect size to types of educational approach method, measurement factors, experimental group size, period of program, and time of program. The approach of problem-solving situation in daily life (d=2.30), mathematic problem-solvimg ability (d=1.71), over 31 Experimental group size (d=1.90), 31-35 period of program (d=1.74), and 31-50 minutes (d=1.76) produced a huge effect size. In conclusion, the approach of problem-solving situation in daily life, mathematic problem -solving ability, over 31 Experimental group size, 31-35 period of program, and 31-50 minutes are very effective when consist of mathematic program for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