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를 활용한 집단모래놀이상담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정체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한 Y대학교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8주간, 총 8회기에 걸쳐 글쓰기를 활용한 집단모래놀이상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실험집단에게 ‘글쓰기를 활용한 집단모래놀이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자아정체성 검사(박아청,1996; 신순란,1999)와 자아존중감 검사(Rosenberg, 1965)를 사용하였다. 연구에 대한 자료 분석은 Spss 18.0 k 통계프로그램으로 처치하였다. 실험집단, 통제집단 두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고 사전, 사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모수검정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글쓰기를 활용한 집단모래놀이상담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정체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검정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 종료 3개월 후 사후질문지를 통한 반구조화 형식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실험집단의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글쓰기를 활용한 집단모래놀이상담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층심리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정체성이나 자아존중감의 발달은 추후 이들이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가 되었을 때 유아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group sand-play counseling using writing in improving ego-identity and self-esteem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group sand-play counseling using writing was provided to 30 freshmen (15 for the experimental group, 15 for the control group)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Y University, in Y City, Gyeonggi Province in a total of 8 sessions for 8 weeks. The Writing-Using Group Sand-Play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go-Identity Scale (Park, 1996; Shin, 1999) and the Self-Esteem Scale (Rosenberg, 1965)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 Spss 18.0 k statistical program. A non-parametric Mann-Whitney 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test.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oup sand-play counseling using writ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go-identity and self-esteem. Three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using follow-up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to verity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group sand-play counseling using writing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allow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their ego-identity and self-esteem. This agrees with the result that an in depth of psychology program affec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go-development, and their development of self-identity or self-esteem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mental health of young children when they come to serve as early childhoo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