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자들의 성찰적 대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유치원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에서 유아들의 언어발달, 또래관계, 정체성 발달에 대한 서로 다른 연구결과들이 드러났다. 따라서 언어, 또래관계 발달과 다양한 환경·맥락적 변인들과의 관계성을 치밀하게 탐색하고 구성적 관점으로 정체성 발달을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교육을 지역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는 어머니들을 결핍의 존재로 보는 관점에서 점차 긍정적인 양육능력의 소유자로 보는 관점으로 변화하는 흐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두 관점 사이의 역동적인 과정에 대한 탐색은 부족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연구들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개념이 모호하고 협소하다는 점과 실천적인 상황에서 “무엇”이 어려운 지를 주로 탐색하였는데 앞으로는 “왜” 어려운 지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생산적인 질문을 만들고 탐색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넷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방향성 및 이론적 논쟁을 치열하게 전개하는 담론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향후 동화주의, 다문화주의, 비판적 다문화주의라는 세 패러다임 ‘사이’의 복잡성을 역동적으로 탐색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행위를 통한 결핍논리의 재생산에 대한 인식, 문화의 개념에 대한 재해석, 그리고 보다 적실한 질적 연구 방법의 활용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ead researchers to reflective discourses by analyzing qualitative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pre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different results of the children’s language, peer relationship, and identity development. I suggested that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peer relationship, and identity and divers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community contexts needed to be closely investigated. Second, the study on child-rearing of mother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indicated that perspectives of the mothers gradually changed from deficient to competent beings with nurturing ability. However, there was a lack of exploration on a dynamic process between these two viewpoints. Third, teacher stud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focused on teachers’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were ambiguous and narrow and what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actical situations. I suggested that more teachers studies needed to investigate "why" the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ifficult by generating more various and productive questions. Fourth, there have been a few discourse studies that intensively develop concept, direction, and theoretical argu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 pointed out that complexity 'among' the three paradigms of assimilation, multiculturalism, and critical multiculturalism needed to be actively explored for the future. Finally, I proposed awareness of reproduction of deficiency logic and reinterpretation of concept of culture by doing research, and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applying more appropriat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