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만 4세 교실에서 의미 없이 활용하던 활동지를 놀이로 전환하는 유아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3년 4월 11일에서부터 2013년 11월 15일까지 참여관찰, 심층면담, 반성적 저널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사는 과정이 생략된 결과를 중시하며 유아의 ‘다른’ 생각이 아닌 ‘같은’ 생각을 표현하는 장으로서 활동지를 활용하였다. 교사가 원하는 결과로 활동지 내용을 수정하기도 하여 유아들은 ‘일’로서 활동지를 받아들여 스트레스로 활동지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활동지 활용에 있어 문제점을 인식한 교사는 활동지를 놀이로 전환하기 위해 활동지를 구성놀이, 신체활동, 미술활동으로 변화시켰다. 활동지를 놀이로 전환하는 교사의 노력을 통해 교사는 유아의 생각 가치를 깨달으며, 적극적으로 표현되는 유아의 생각을 만났고, 더욱 생각하는 교사로 살아가며 의미 있는 교사 역할을 찾아가고자 하였다. 그리고 놀이와 생각 표현의 장으로서 활동지를 활용하는 것을 구분하여 꼭 필요할 때 유아의 의도가 담긴 표현의 장으로서 활동지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들 표현의 장으로 제공되는 활동지를 유아에게 의미를 찾아가고자 한 것으로 유아교실에서 활용하는 활동지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 보도록 하는 데 의미를 시사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described the experience of a pre-school teacher trying to change meaningless work-sheets into playful activities in a class of 4-year-old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lesson discussion and in-depth interviews from April. 11, 2013 to November. 15, 2013. The findings showed that when the work-sheets were valued as a part of study results, the classroom was just a place where the children were forced to think in the same way since teachers would focus not on the process but on the results. Therefore, when the results didn't turn out the way they expected, they would correct the contents of the sheets. So, the children would consider the sheets stressful work. However, teachers came to realize the problem of the sheets and began to create new activities: constructive play, physical activity and art activity. Through the changing efforts, teachers found the value of children's way of thinking and became active in understanding their perspectives, which led them to the ideal role of teachers. They also tried to set the limit to use of the sheets to only when children needed to express their thoughts in a playful wa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work-sheets are to be utilized as a tool for children's expression in a playful way and thus the true meaning of the sheets should be accep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