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개념도 분석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가 부모교육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개념은 어떠한지, 개념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예비유아교사 50명과 유아교사 35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 범주화, 내용별 빈도 및 백분율, 상위개념 특성과 밀도, 하나의 상위개념에 연결된 종속개념의 단계 등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두 집단 모두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부모교육에 포함될 내용을 아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두 집단 모두 부모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이 내용적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예비유아교사는 이론 지식, 유아교사는 기관에서 요구되는 실제적인 지식이라는 상위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9권의 부모교육 저서에 나타나는 부모교육 내용요소에 근거하여 분석한 두 집단의 상위개념에서 예비유아교사는 가족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부모교육의 내용 및 필요성, 기관에서의 부모교육 순으로 나타났으나 유아교사는 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부모교육의 내용 및 필요성, 가족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순으로 나타나 서로 다르게 개념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는 상위개념 중 ‘가정’에 관한 개념을 가장 많이 갖고 있었고 ‘부모교육의 실제’에 대한 개념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유아교사는 상위개념이 비교적 골고루 형성되어 있었다. 다섯째, 예비유아교사의 밀도는 0.33에서 4.58이었고 유아교사는 1.33에서 3.63으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부모교육에 대한 지식이 다소 단편적이면서 분리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사양성과정에서의 부모교육의 방향에 대한 재설정과 기관에서의 의미있는 부모교육 운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희망한다.


This study focused on how early childhood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and organized the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alysis introduced by Novak and Gowin (1983, 1984),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ies,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of teachers’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Fifty pre-service teachers and 35 in-service teachers drew conceptual maps of parent education for 1.5 hours. First, both the in-service teacher group and pre-service teacher group regarded ‘content of parent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form of knowledge in parent education. In the content of parent education, parenting skill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development are included. However, with regard to the content of upper category of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had more practical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ut family, children, parents, and parent education as coursework in the upper category of parent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put plan, process, implementation, object, necessity and effect of parent education in the upper category. These results revealed that more practical knowledge of parent education needed to be included in teacher education. Second, in the analysis of concept mapping,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indicates that how densely teachers organized their understanding of parent education. Both groups did not have high points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The density of knowledge on parent education ranged from 0.33 to 4.59 in the case of pre-service teacher group and from 1.33 to 3.65 in the in-service teacher group.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both groups of teachers might not have strong hierarchical and organized knowledge and concept of parent education. Finally, this result shows us the ‘parent education’ knowledg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e recommended that in the course of parent education, more practice of parent education including planning and implementing of parent education might be inclu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