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육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보육프로그램 관련 전문적 지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부산 지역에 소재하고, 전문기관에 의해 위탁운영 중인 직장어린이집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부분의 직장어린이집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기초한 연령별 보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고, 연령별 보육내용의 모호함과 활동자료 및 교재ㆍ교구의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해 다양한 교재ㆍ교구 개발과 보급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직장어린이집의 비율은 전체 81.0%였고, 대체로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특성화 프로그램의 내실화와 관련 교사교육 등의 측면에서 전문적 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별활동을 실시하는 직장어린이집은 전체 70.8%로 주로 외부강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고, 획일적인 활동과 강사 주도적인 활동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특별활동 프로그램의 내실화, 전담교사 배치, 우수강사 확보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 and support needs of childcare programs, which were the educare program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specialized child-care progra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se programs were implemented at workplace child-care centers consigned by specialized institutions in terms of university and private consignment agencies. The subjects were 253 teachers working at workplace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is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and x squar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workplace child-care centers applied the National curriculum but they pointed out some problems and limitations and required support such as the enrichment of program contents and providing materials. Second, about 81% of workplace child-care centers operated specialized child-care programs. And many child-car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upport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ird, 70.8% of workplace child-care centers implemen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Generally these activities were managed by external lecturers and through teacher-centered activities Therefore child-care teachers asked special needs such as the enrichment of program quality, assignment of exclusive teachers, employment of highly qualified lecturers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