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시간에 보여지는 함께 놀이하기를 Bakhtin의 대화주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유아들의 함께 놀이하기의 역동적인 특징을 살핌으로써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내 대학부속유치원의 만 5세 바다반 학급의 유아들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제한된 관찰자로서의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해석적·유형적 분석 및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용을 범주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Bakhtin의 발화에 대한 응답성 여부에 따라 크게 ‘놀이틀 안에서 함께 존재하는 나와 너’와 ‘놀이틀 안에서 강조되는 나’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놀이틀 안에서 함께 존재하는 나와 너’는 과거의 역사 공유, 갈등의 즉흥적 변주, 역할을 찾기 위한 고군분투의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놀이틀 안에서 강조되는 나’는 개인의 역사 소유, 갈등의 불협화음, 역할을 지키기 위한 고군분투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함께 놀이를 하는 과정 중에 주고받는 대화와 놀이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만 5세 유아들의 함께 놀이 과정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고, 현장에서 유아들의 놀이와 또래관계를 관찰하는 교사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ged five playing together during free play time while interpreting the activity from the viewpoint of dialogism by Bakhtin. Those five-year-old children in Sea Class of a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a college in Seou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 order to collect data, the study conducted a participant observation as a limited observer, and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an interpretative analysis and a typological analysis including a visual displa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divided into ‘You and I existing together in a play frame’ and ‘I stand out in a play frame’, depending on responsiveness to the dialogues of Bakhtin. A closer investigation on the analysis results reported that ‘You and I existing together in a play frame’ would be described as a type to share the history of the past, playing improvised variations of conflicts and fighting fiercely to find a role. Second, when it comes to ‘I stand out in a play frame’, it was considered another type to strive passionately to possess the history of oneself, letting discords of conflicts continue and securing roles. While looking into characteristics not only of dialogues shared by the children during their play time but also of how their play would be developed, the concerned study understands the significance of the playing together process of the five-year-old children, providing teachers with implications which would help the teachers when they try to observe the play and peer relations of the children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