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해양 경찰 공무원과 육상 경찰 공무원간의 보상유형별 직무만족영향요인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해양경찰 공무원의 경우 사회적 보상(표준화계수 β: 0.307) > 직무적 보상(표준화계수 β: 0.293) > 외재적 보상(표준화계수 β: 0.291)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베타값의 영향력 차이는 즉,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는 사회적 보상, 직무적 보상, 외재적 보상 간에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해양경찰 공무원의 경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보상, 직무적 보상, 외재적 보상을 균형적 수준에서 충족시켜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육상 경찰 공무원의 경우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의 베타값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육상경찰 공무원의 경우 사회적 보상(표준화계수 β: 0.470) >직무적 보상(표준화계수 β: 0.268) > 외재적 보상(표준화계수 β: 0.126)순으로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육상경찰 공무원의 경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회적 보상에 가장 크게 역점을 두어야 하며, 다음으로 직무적 보상, 외재적 보상 순으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by reward type between the maritime police and the land police officers. As a result, for the maritime police, the job satisfaction has been affected by social reward (standardized coefficient β: 0.307) 〉job reward (standardized coefficient β: 0.293) 〉 external reward (standardized coefficient β: 0.291). But, the difference of influence of beta valu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social reward, job reward and external reward. This means that social reward, job reward and external reward must be satisfied in balance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the maritime police officer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of influence of beta value was significant for the land police officers. For the land police officers, the job satisfaction has been positively (+) affected by social reward (standardized coefficient β: 0.407) 〉job reward (standardized coefficient β: 0.268) 〉external reward (standardized coefficient β: 0.126). This means that social reward must be focused on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job reward and external re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