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직무만족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경찰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경찰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안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전지방경찰청 소속 6개 경찰서에 근무하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4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72부를 회수ㆍ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물리적 환경, 역할과다, 대인관계, 쇄신지향, 역할갈등이고, 종속변수는 이직의도이고, 매개변수는 직무만족이다. 분석 결과, 역할과다와 역할갈등은 이직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쇄신지향과 대인관계는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쇄신지향 ⇨ 직무만족 ⇨ 이직의도]의 경로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경찰관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고, 대인관계로 인한 갈등을 최소화하고, 조직의 쇄신 및 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역할과다 및 역할갈등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고자 노력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al relation between police job stress, turnover intent, job satisfaction. E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Lower elements of job stress are physical environment, excessive duty,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novation orientation.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372 police officers selected from Daejeon Provincial Police Agency. The research variables in model of this study is analyzed by AMOS 18.0 statistical pack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terpersonal rel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on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 And, role overload and role conflict have a direct positive relation to turnover intent. This study suggests police organizational managers should take great interest in job satisfaction, role overload, role conflict,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novation orientation in order to decrease officers’ turnover intent with respect to long-term strategies. Especially, police administration should place emphasis to the policies to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no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