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사이버 공간은 급속도로 확장되었고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 사이버공간에 수시로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편리함이라는 단면에는 피싱, 악플, 바이러스에 의한 해킹 등 사이버 범죄에 언제 어디서든 수시로 노출된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이러한 사이버 범죄의 행위가 현실세계에 범죄통제와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활용은 지극히 개인적 공간을 중요시함에 따라 개인에 초점을 맞춘 범죄예방과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현실세계에서 가상공간의 세계를 연결시키는 범죄주체에 대한 영향을 통제하는 사회유대이론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연구의 차별성을 위해 다수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신념에 초점을 두어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요약하면, 부모님과의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사이버 범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3.335, p=.000) 그리고 신념은 t=-5.607, p=.000으로 사이버 범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사회적 유대가 사이버 범죄에 부(-)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Ⅰ은 부모님과의 의사소통과 신념이 사이버 범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As the internet has propagated, cyber space is extened rapidly. And as smartphones become common, anyone can access to cyber space via internet whenever & wherever. It is a fact that while it is convenient, it is also exposed to cyber crimes such as phising, internet bullying, and hackings by viruses at any time. The bottom line is we need other approach to such cyber crimes being different with crime control in real world. In particular, as the use at cyber space extremely emphasizes individual space, it is needed to prevent/intervene to crimes focusing on the individual. This study made a trial to the analysis through social bond theory to control the effect on crime subjects connecting the world of cyber space with real world. In addition to this, we have conducted the study to verify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advanced researches focusing on the belief for the differentiation of study. As a summary, it is indicated that as the communication with parents is high, cyber crime is reduced (t=-3.335, p=.000).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 belief has t=-5.607, p=.000 and impact a negative effect on cyber crimes. As a result, hypothesis I which social bond will impact a negative effect on cyber crimes is adopted by revealing that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belief impac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yber cr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