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북 가평마을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농촌마을에 전승되는 민속문화의 전승과 변화가 전통문화를 계승 혹은 재창조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문화적 대응이었음을 살핀 것이다. 문화과정은 문화요소들이 시간을 통하여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계속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저마다의 환경과 인식에 따라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갖추며 변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런 시각에서 오늘날 전승되는 민속문화가 새로운 문화요소의 조합과 종합을 이루는 하나의 문화과정이며, 그 과정이 여러 형태로 진화된다는 다선진화론적인 시각과 생태학적 관점을 새삼 재인식하고서 민속문화의 온상인 농촌마을을 살펴보았다. 현재 농촌마을이 겪고 있는 도시화, 산업화란 결국 서구화를 의미하며 이는 전통적인 사고와 행위가 지배하던 문화가 목적적이고 합리적인 규범을 새롭게 갖춘 문화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민속문화 가운데 농경적인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세시풍속은 농업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쇠퇴 즉, 변화를 거듭하고 있고, 오늘날 최소한의 전통적인 명맥을 잇고 있는 상황이다. 곧 농업의 기계화 정도와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노동력이 많이 필요치 않게 되는 환경이 결국 세시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정신앙과 마을신앙은 집과 마을의 환경이 변함에 따라, 즉 농경생활의 변화, 산업화에 따른 의식의 전환, 가옥구조 개선 등 새로운 문화요소의 개입으로 인해 사라져가는 신앙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복합사회로 발전하면서 문화적 인과관계에 의한 인식 변화가 뒤따르고, 그에 따라서 이런 신앙은 전통적인 신앙의 소멸이 아닌 새로운 문화환경에 의해 대체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변화는 마을 외적 상황에 대한 즉흥적 산물만은 아닌, 그 동안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온 결과로 새로운 문화환경에 따른 필연적인 산물이며, 적응의 또 다른 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가 있기까지는 집과 마을뿐만 아니라 지역과 사회 그리고 국가와의 소통에 따른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런 민속문화의 변화 속에서 일부 전통적인 문화요소가 소멸되지 않고 새로운 문화환경에 따라 전이, 대체되고 있는 양상을 찾을 수 있는데, 가평마을의 경우 근대 이후 유교적 전통성을 지향하면서 새로운 사회적 상황에 대응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지역과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적 견인 그리고 마을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마을가꾸기 문화정책은 농촌문화의 가치와 이미지를 재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무릇 전통성 계승이라는 명목으로 추진되는 이런 사례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나, 갈수록 변화해가는 우리의 전통문화가 오늘날 어떠한 모습으로 계승하는지를 살피고자 할 때 이러한 면모들을 예의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살폈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at the succession and change of folk culture of rural villages is cultural response to attain a social integration. Cultural process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process which various cultural elements continue to b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over time and change having its cultural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according to its own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In this respect, understanding the fact that today's folk culture is the result of having attained in the process of being mixed with new cultural elements and being generalized, and afresh recognizing theory of multilinear evolution which sees that culture evolves in various different ways and ecological viewpoint, rural villages, the center of folk culture have been examined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village is community which shows intensively not only correlations of nature, agriculture and man but also each region's trait and identity, and is also the smallest place having our nation's traditional orthodoxy, history and culture. It has been understood that folk culture which is formed, spreaded and succeeded to for a long time of change in this traditional village is the core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our culture and it has its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at goes through village, region and 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