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 특수본풀이의 하나인 박봉춘본 <원천강본풀이>를 대상으로,주인공 오늘이가 시간의 신으로서 좌정하게 된 서사적 맥락을 밝히고자 하였다. 오늘이에 대하여 시간을 주재하는 신격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는 <원천강본풀이>의 서사가 지닌 ‘시간’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바 없었다. 따라서 서사적 맥락을 따라 <원천강본풀이>속의 시간의 의미를 밝히고,시간의 신으로 좌정한 오늘이의 내력을 뚜렷이 하고자 한 것에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할 것이다. 그러나 작품에는 ‘시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있지 않고, 그 서사가 곧바로 시간을 형상화한 것은 아니므로, 작품을 통해 시간의 의미를 추출해낼 인식틀이 필요하게되었다. 그리하여 니체의 생철학적 인식론을 도입하여, 작품 향유자들의 시간에 대한인식이, 현대의 외부적 조건으로서의 물리적 시간보다는 보다 삶에 밀착된 형태의 것이었음을 전제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렇게 생각하면 작품 속 오늘이의 시간, 오늘이와 만난 장상, 연꽃, 뱀, 매일이, 선녀의 시간은 멈추어진 상태였으며, 오늘이가 여행을 통해 그녀 자신의 문제와 다른 존재들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각자의 멈추어진 시간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 <원천강본풀이>의 서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계의 확장과 인식의 극복을 통하여 삶의 시간을움직여 가는 여행, <원천강본풀이>는 그 자체로 인간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서 소중한깨달음을 전해주고 있는 것이다.


With <Woncheongang Bonpuri> arranged by Park Bong-choon, which is one of the Jeju Island's special shaman songs, this thesis is intended to clarify the narrative context how the main character, ‘Oneuri’, became the god of time. It is common to understand ‘Oneuri’ as a deified being governing time, but there was no analysis of the meaning of ‘Time’ appearing in the epic story of <Woncheongang Bonpuri> all over the previous researches. Accordingly, this thesis may have significance, in that it clarified the meaning of ‘Time’ in <Woncheongang Bonpuri> and found out the details about ‘Oneuri’ who was appointed the god of time. However, since there was no direct mention of ‘Time’ in the work, and the epic story didn’t embody time, a frame of perception was needed to deduce the meaning of ‘Time’ through the work. Therefore, on the premise that the work readers’ preception of time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eople’s lives, rather than physical time, as an external condition of the modern times, this study developed this discussion by introducing Nietz's Epistemology in terms of philosophy of life. Upon better consideration based on the methodology above, it was found that the time of Oneuri, Jangsang whom she met, the lotus flower, Maeiri and the fairy all stopped, and when Oneuri solved the other existences’ problems as well as her own problems through her trip, time started to move, which was the epic story of <Woncheongang Bonpuri>. A trip making time move gradually through the expansion of relations and perceptional conquest, <Woncheongang Bonpuri>, is a human story itself which helps readers find enlighte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