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강신무의 항시적 성소(聖所)인 신당(神堂)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강신무의 신당은 영원불변의 신성성을 지니는 공간으로서, 그 구조는 과거부터 일정한 틀을 유지해 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신무 신당의 구조는 현재보다 과거에 여러 다양한 구조가 존재해 왔으나, 현재는 오히려 그 유형이 단순화되고 있다. 신당은 곧 강신무의 몸주신의 성격을 반영하고, 또한 그 신성성을 표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 안에 배치된 상징물로는 신의 모습을 가시화한 신체(神體)와 점구류 등이 존재한다. 이 상징물은 신성성(神聖性)이 부여된 성물(聖物)로 인식되어, 일반인들은 함부로 만지거나 다루어서는 안 되는 금기의 대상으로 믿어진다. 이러한 믿음은 곧 신의 의사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신당은 곧 신직 매개 및 신과 인간이 상호교류가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며, 그 공간 안에서 신을 상징하는 상징물에 기원하고 또한 상징물을 매개로 하여 신의 의사를 전달받기도 한다. 무당(巫堂)은 무(巫)가 신을 위한 제를 지내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그 명칭 안에 종교공간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무당과 신당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강신무에게 신당은 신성공간으로서 정화의례의 공간이며, 또한 종교인으로서 신을 알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은 신직을 수행하는 매개자로서의 강신무에게는 자신에게 받은 권위를 신앙자에게 현시적(顯示的)으로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하며, 신앙자에게는 신과 상호소통이 가능한 종교공간으로 활용된다. 신앙자는 신당을 찾은 목적에 따라 그 직능에 해당하는 신격에게 기복발원을 행한다. 그 대상신은 출산과 수명 그리고 재수와 재복 등과 같은 직능을 지니는 신이 주를 이룬다. 그러한 이유로 인해, 강신무는 자신의 몸주신 외에도 그와 같은 직능을 지닌 신의 상징물을 신당에 봉안해 놓는다. 또한 신앙자는 강신무를 통해 신의 메시지를 전달받기도 한다. 그 외에도 강신무와 단골관계를 맺은 신앙자는 명다리라는 매개물을 통해 수명연장을 기원하기도 한다. 즉, 신당은 사제자와 신앙자 모두 신을 만나는 곳임과 동시에, 신앙자에게는 巫를 매개로 하여 신과 교류가 가능하게 해 주는 성소이기도 하다. 그러한 맥락에서 강신무의 신당은 여러 다양한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종교공간이라는 주장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religious implications that the sanctum of Gangsinmoo(the possessed shaman) holds. As a place for permanent and unchangeable sacredness, the sanctum of Gangsinmoo seems to have maintained a certain structure from the pastWhile the structure of the shrine was various in the past, now it has increasingly simplified these days. The shrine also reflects the characters of Gangsinmoo’s Mom-Ju-sin (몸주신, the Owner God). Symbolic icons located in the sanctum include the Body of God (神體) which visualizes the God, and Jeomguryu (占具類). These icons act as the medium which connects the shaman with the Owner God and express the sacredness of the Owner God. Moo-Dang (the shaman) means the house (Dang) of Shamanism (Moo), and thus the name indicates a place for religious activity. For the shaman, the shrine is a place for sacredness and purification rites. It also serves as a place for the shaman to have an audience with the God as a religious person. In addition, the shrine explicitly exposes the dignity of the God to the shaman. The sanctum is also used as a religious place where a believer interacts with the God through shamanism activity. The believer visits the shrine and prays to one of the Gods based on the ability of the God. Those Gods mainly have the ability to control childbirth, longevity, luck and the good fortune in money. Sometimes the God’s message is delivered to the believer by the shaman through shamanism activity. Furthermore, a Dangol (a follower of the shaman) prays for longer life, using Myeongdari (a life bridge) as a medium. In other words, the shrine is not only a place both for the sham and believer to meet the God, but also a sacred place for the believer to communicate with the God through the shaman. In that context, it can be argued that the shrine of Gangsinmoo is a religious place which has a variety of religious implication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