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구들장논은 토양의 자연누수율이 높고, 돌은 많고, 토지에 대한 인구압은 높은 상황에서 조성된 독특한 청산도의 농경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구들장논은 넓은 범주에서는 계단식논에 해당하지만 논의 조성방식과 구조, 그리고 수리체계 및 수도재배기술에 있어서는 한반도 내륙지역과 비교되는 점들이 많다. 이러한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양은 사질토가 주를 이루고 식재층의 토심이 얇아 수도재배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농업환경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들장논의 구조를 암석층, 자갈층, 토양층으로 조성하고 토양층 아래를 특별히 굳히는 과정을 거쳐 얇은 토심과 사질토가 갖는 자연 누수율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 그리고 논둑은 수직으로 쌓고 폭은 좁게 하여 경지율을 최대한 높였다. 둘째, 수리방식은 소규모의 도랑물과 경작지 주변의 용수(湧水)를 수원으로 하여 고지대 우선 급수방식을 취하지만 상하 배미 간의 급수로는 노출형 물꼬가 아니라 논바닥 아래의 지하로 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특히 집수처(集水處)이자 수근(水根)이 있는 곳에는 돌 수문을 설치하여 관개를 하며, 배수처는 주로 논 안쪽 후미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내륙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수리체계이다. 셋째, 모내기를 위한 정지(整地)방법으로는 쟁기질과 써레질을 내륙지역에서보다 훨씬 많이 행하여 토양의 자연누수현상을 최대한 줄이는데 주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양의 자연누수율은 여전히 높아 모내기 이후 지속적인 물대기를 한다. 넷째, 수도재배를 위한 노동력의 동원에 있어서 여성노동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특히 모내기와 김매기는 전적으로 여성노동력으로 해결하는데 이는 내륙지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현상이다. 그리고 김매기에는 호미와 같은 농기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점 또한 독특하다. 이렇게 볼 때 청산도의 농경문화는 전반적으로 제주도와 유사한 점이 많다. 토양에 돌이 많고 누수율이 높다는 점, 그래서 밭의 경우는 아예 두둑과 고랑이 전혀 없다는 점, 그리고 지표수 대신 토층 아래의 지하수가 발달한 점, 여성들이 들일의 중심이 되고 있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From a broad category, the ‘gudeuljang paddy-field’ of Cheongsan-myeon, Wando-gun, Jeonranam-do is the rice terrace widely distributed in the cultural area of paddy-field rice cultivation in East Asia. Mainly regarding the parts compared with the rice terrace cultivation of inland area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been gained so far can be summarized as below: 1. There exists a hydraulic system to overcome the land conditions of sandy soil with severe water leaking and drainage. Thus, to reduce the water leaking as much as possible, plows seven times at the soil preparation, and keep supplying water after transplanting young rice. 2. The topsoil is very thin in the gudeul-jang rice terrace. Most of it is thinner than 1ja (1feet, 30cm). In terms of the rice terrace’s lateral cross section view, the lower layer consists of stone, and deep soil is made of pebble and rough earth. There is an intermediate layer made by adding water onto it and mashing mud soils with water and then drying to harden, and also, there is thin topsoil on it. Drying and hardening earth under the topsoil is to reduce the water leaking, but it is hard for one-time irrigation to last for a day. 3. Naturally leaked water flows below the soil of a rice terrace and is collected there. And again, it is reused as the source of irrigation water in the lower strip of rice terrace. And the water remaining after being used in the upper strip of rice terrace gets drained below the bottom of rice terrace through the water gate behind it. The water passing below the bottom of rice terrace becomes irrigated to the lower through the stone water gate. 4. The water source of gudeul-jang rice terrace is mainly the stream water and small water springing from the foot of the mountain or such. The former is irrigated by using the Bo(洑, dam) for irrigation while the latter is drawn with the small ditch behind the rice terrace. The unit productivity of rice yield is very low, but the gross productivity is quite high because of double-cropping. And for the vertical and narrow levee the possibility of land cultivation is fairly high. This rice terrace structure is closely related with population pressure. 5. From this view, agricultural culture in Cheongsan-do is classified into the middle between Jeju-do and inland. At first geographically it is similar to Jeju-do as it is located between Geonranam-do and Jeju-do. Second in soil science i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hird in water source it is similar to Jeju-do as it has high quality water. Last it is similar to Jeju-do as female manpower forms most of the agricultural labor. 6. For weeding the rice terrace, a hoe is not used, but bare hands. It is very different from inland’s agriculture of rice terrace because a light plow is used to reduce the natural leak, not deep plowing. The gudeul-jang rice terrace in Cheongsan-do can be said to be the excellent adaptation of the farmers to the poor natur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pres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