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 학계의 신종교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서 때 늦은 감은 있으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논점을 소개하고 이를 신종교 연구의 새로운 도전이며 기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파악되는 ‘경계의 와해’ 혹은 ‘탈분화’ 그리고 ‘유동적 자아’를 새로운 종교적 혹은 영성적 추구의 등장이라는 현상과 연계해서 그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단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담론으로 머무는 것을 막기 위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한국 사회에서 70년대부터 현재까지 제도종교 밖에서 등장하고 확산된 자기개발 내지 자기완성 그리고 전체론적 치유를 목적으로 한 다양한 종교현상(‘뉴에이지’)을 소개하였다. 더 나아가 이와 함께 변하고 있는 개인들의 종교의식을 저자의 설문조사를 결과를 인용하여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기존의 한국 학계의 신종교 연구를 그 연구대상의 범위, 연구자의 조사대상에 대한 접근 방법 내지 시각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포스트모더니즘 담론 그리고 ‘뉴에이지’라는 새로운 종교형태의 출현이 한국 학계의 신종교 연구에 어떤 것을 요구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central arguments of proponents of postmodernism or postmodernity as well as to suggest these arguments to be taken as a new challenge and chance for Korean studies in new religions, even though this kind of discussion seems to be behind time. Especially, it is attempted to clarify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namely, 'erosion of the significance of distinctions' or 'dedifferentiation' and 'the self in fluidity' on the one hand, and new religious or spiritual quest at contemporary societies on the other hand. Furthermore, a series of new religious phenomenon which has appeared and spread outside of established religions since the 70's in South Korea, is delineated. This phenomenon is to be called 'new age' which takes self-development or -perfection as well as wholistic healing as its main goals, while this shows postmodern aspects to a great degree. In parallel with this new religious phenomenon the changed religious consciousness of individuals is pointed out with help of some results of the researches which were done by this author. In the end, some research trends within Korean academic circles in regard to the subject 'new religions' are critically considered based on limited research area as well as authoritarian attitude of researchers to research objects (new religions), while it is suggested the existing discourse on postmodernism and the presence of 'new age' will be of help to find a way out of the impasse with which Korean studies of new religions is confro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