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학계에서 그동안 커다란 관심을 받아오지 못했던 한국의 여성 종교지도자를 조사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이들의 신비체험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들이 지도자로서 자신의 위상을 구축하는 과정을 추적하여 이들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강한 카리스마를 행사하며 독립적인 종교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는 여성들을 조상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한국의 모든 주류종교에서 여성들이 신도의 대다수를 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이 이들 종교의 조직구도 안에서 본격적으로 지도자(성직자)의 역할과 권위를 행사하는 데는 많은 저항이 존재하고 가톨릭의 예를 들어도 여성의 성직자 역할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한 권위를 행사하는 여성 종교지도자들이 대거 비주류적 종교영역에 포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들 비주류권 여성 종교지도자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학문적 논의가 필요한 것은 이들에 대한 부정적 대중담론이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재생산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여성의 종교성 전반에 대하여 흔히 내려지는 부정적인 평가(‘미신적’, ‘비이성적’, ‘감성적’, 등)와도 직간접적으로 관련되기에 이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이 절실히 요구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독립적인 종교공동체를 이끌고 있는 여성들과의 비교대상으로 제도종교 안에서 지도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일련의 여성들을 선택하여 이 두 그룹의 여성들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여전히 가부장적인 한국의 종교문화 속에서 여성들이 (의식적이던 무의식적이던) 어떠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기존의 남성(성직자)중심의 위계질서적 구조를 넘어 자신의 독자적인 종교적 영역을 구축하고자 하는가를 고찰하기 위함이었다.


Female religious leaders are not hold in high esteem in Korean society in general. Especially, those women who established independent religious communities exerting strong charismatic authority are often judged by mainstream religions "deviated" or "heretical", while it not seldom happens that their "criminal" activities are "revealed" via mass media. Even within academic circle these women didn't draw much attention and accordingly, they were not evaluated properly in terms of their socio-cultural role as well as religious creativity. Furthermore, it is not analysed yet in depth, how these Korean women who form a very small minority comparing to male religious leaders, build up their charismatic leadership. So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female religious authority as well as the persisting tension between these female religious leaders and established religious power in South Korean society. Specifically, mystical experiences of these women were paid attention for the reason that encountering/communicating with supernatural reality/power serves as a crucial factor which legitimates the charismatic authority this women claim themselves. With the purpose of analysing religious experience of these women,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r spiritual autobiographies of two female religious leaders - Buddhist nun, Myosimhwa and Catholic laywoman, Yun Julia - were chosen, a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ir life-process as well as religious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a last step, female religious leaders in non-mainstream and mainstream religions were compared and ascertained that these women are making use of various strategies for ensuring their leadership and autonomy against still male- and priest-centered Korean religious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