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is paper, I will divide Korean modern buddhist thought to a three type. The first type is the buddhist thought to pursuit a social participation. Han Yong Woon's thought belongs to the first type. Han Yong Woon emphasizes the social participation. But he does not deny the religious constituent. The second type is the buddhist thought to reform the buddhist world, but not to pursuit the social participation. Park Han Young and Baek Yong Seong's thought belong to the second type. Park Han Young pursuits to reform the buddhist world, but he is passive in social participation. Baek Yong Seong pursuits to reform the buddhist world through the movement of Daegakgyo. But he is also not active in social participation. The third type is buddhist thought to succeed to the tradition, not to pursuit the change of the buddhist world. Bang Han Am belongs to this type. He succeeds to the tradition, but he is not dependent to the authority. In three type, the third type is the main stream in Korean buddhist world. The first type disappeared through the conflict of the left wing and the right wing after the 1945 Liberration. The second type was weakening through the dispute of the buddhist monk after 1950's.


In this paper, I will divide Korean modern buddhist thought to a three type. The first type is the buddhist thought to pursuit a social participation. Han Yong Woon's thought belongs to the first type. Han Yong Woon emphasizes the social participation. But he does not deny the religious constituent. The second type is the buddhist thought to reform the buddhist world, but not to pursuit the social participation. Park Han Young and Baek Yong Seong's thought belong to the second type. Park Han Young pursuits to reform the buddhist world, but he is passive in social participation. Baek Yong Seong pursuits to reform the buddhist world through the movement of Daegakgyo. But he is also not active in social participation. The third type is buddhist thought to succeed to the tradition, not to pursuit the change of the buddhist world. Bang Han Am belongs to this type. He succeeds to the tradition, but he is not dependent to the authority. In three type, the third type is the main stream in Korean buddhist world. The first type disappeared through the conflict of the left wing and the right wing after the 1945 Liberration. The second type was weakening through the dispute of the buddhist monk after 1950's.


이 논문에서는 한국근대불교사상을 사회참여를 기준점으로 해서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유형은 사회참여를 지향하는 한용운의 사상이다. 한용운은 자신의 불교관을 4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불교는 평등의 가르침, 서로 구제하는 가르침이라고 본 것이 중요하다. 한용운은 이 관점을 더욱 발전시켜서 독립운동, 농민운동, 여성운동에 적용한다. 이처럼 한용운은 사회참여를 지향하고 있지만 종교의 요소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종교는 시대와 근기에 맞추어서 중생을 구제하는 것을 본래의 의미라고 하면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넘어서 시대에 맞는 처방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한용운은 말한다. 둘째 유형은 한용운처럼 적극적으로 사회운동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불교계 개혁 또는 변화에 앞장선 박한영과 백용성의 사상이다. 박한영은 당시의 불교교육을 맡고 있는 불교강사를 5가지 항목을 들어 비판하고, 포교를 위한 방안도 4가지 항목에 걸쳐서 제시한다. 백용성은 대각교 운동을 추진해서 불교계의 개혁을 도모한다. 이처럼 박한영과 백용성은 불교계의 개혁과 변화를 추구했지만 적극적 사회참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셋째 유형은 전통을 계승하는 방한암의 사상이다. 방한암은 승려라면 5가지 일에 전념해야 한다고 한다. 그것은 선, 염불, 간경, 의식을 공부하고, 가람을 수호하는 것이다. 또한 방한암은 도의국사를 조계종의 종조라고 주장하면서도 태고보우의 위치도 어느 정도 인정해 준다. 방한암은 불교계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전통을 계승하여 불교의 명맥을 이어가겠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