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 신종교의 개벽과 종교적 이상세계에 대한 기존 종교학계의 기술(description)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그것의 재기술(redescription)과 교정(rectification)을 위해서는 각 개별 교단들의 고유성을 정립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한다는 인식 하에, 대순진리회의 개벽과 이상세계가 지닌 고유한 내용과 특징을 각각 동학⋅정역(영가무도교)의 개벽, 그리고 유불도 삼교의 이상세계와 비교의 지평에서 살펴본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교조 증산에 따르면, 우주의 역사는 상극과 결원(結冤)으로 점철된 세상인 선천, 그리고 상극이 없고 모든 원(冤)이 해소된 후천 지상선경, 선천과후천 사이의 대전환기인 과도기로 나뉜다. 과도기는 다시 만물이 원을 푸는 해원기(解冤期)와 병겁이 닥치는 병겁기(病劫期), 세상의 점진적인 변화의 끝에 급작스럽게 펼쳐지는 대변혁기인 개벽기(開闢期)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증산은 자신이 제시한 개벽과 후천 지상선경이 미증유의 것이며 운수에 정해져 있었던 것도 아니라고함으로써 순환사관(循環史觀)과 시운관(時運觀)을 부정했다. 따라서 순환사관과 시운관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 동학⋅정역(영가무도교)의 개벽을 연속적⋅아날로그적인 변곡점에 비유한다면 대순진리회의 개벽은 비연속적⋅디지털적인 ‘퀀텀 리프’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대순진리회의 개벽이 동학⋅정역(영가무도교)의 개벽과 구분되는 중대한 차이점 가운데 하나이다. 대체로 수운⋅일부⋅증산의개벽에 대한 학계의 기존 기술은 이들의 개벽이 모두 순환사관과 시운관에 따른 것이라는 전제에서 시작되어 왔기 때문에, 그러한 기술들은 재검토되고 교정되어져야할 것으로 본다. 개벽 이후 열리는 신천지는 지상선경이다. 증산은 과거 유불도 삼교에서 제시한이상세계를 망라하면서도, 그 이전에는 제시된 적이 없었던 그만의 독창적인 문제의식과 해결방안을 위주로 하여 지상선경이라는 새로운 꿈을 세상에 선보였다. 지상선경에는 유교 대동사회, 불교 미륵정토, 도교 이상세계의 모습도 일부 녹아있지만, 전 우주적 차원에서 상극이 없고 모든 원(冤)이 해소된 세계라는 정의는 기존의어떤 신선세계나 이상세계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증산만의 독특한 것이었다. 이러한 증산의 지상선경이 한국 신종교가 구체적으로 그려내는 데 성공한 최초의 이상세계라는 점은 중대한 종교사적 의의이다. 신종교의 교조들이 교단 초창기에 주창했던 문제의식과 해결방안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낙후된 것으로 치부된다면, 그 신종교는 존속의 이유를 의심받게 되고,결국에는 생존을 위하여 중대한 자체 변신을 단행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100여 년전, 증산이 활동했던 시대에 비하면 현재 한국의 상황은 상당히 변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세상에는 상극이 존재하며 결원 역시 완전히 해소되지 못했다. 상극과 결원이 완전히 사라지기까지는 증산의 가르침은 여전히 생명력을 유지할 것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지상선경의 꿈 역시 여전히 유효함은 물론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describ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Open’ and the ideal world of Daesoonjinrihoe on the horizon of comparison with Suwoon and Ilbu’s Great Open and the ideal world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s a work for the redescription and rectification of the previous articulation done in academia of religious studies, by pointing out some problems in describing the Great Open and the religious ideal world of Korean New Religion. According to Jeungsan, the history of Universe fall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Former World interspersed with mutual conflict and nourishing grievances. Second, the Later World, that is, the earthly paradise with no mutual conflict which has resolved all its grievances. Third, the transitional period as a great turning point of the Former World and the Later World. Again, the transitional period is divided into the period of resolution of grievances and the period of disastrous disease which encounters an unidentified epidemic, followed by the period of Great Open when the abrupt change reveals itself at the end of the incremental change. Here,Jeungsan negates the cyclical view of history and the outlook on the propitiousness of the times by arguing that the Great Open and the earthly paradise of Later World to which he has suggested are neither precedented ones nor the events predetermined by the program on the turning of the Cosmic Wheel. Thus, comparing the previous Great Open to a continuous and analogistic point of inflection,Jeungsan’s Great Open can be compared to an uncontinuous, digitialistic ‘quantum leap’. This is one of the distinctions that Jeungsan’s Great Open is differentiated from Suwoon and Ilbu’s Great Open. Besides, while encompassing the ideal world suggest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e has proposed a dream of new earthly paradise according to his own creative critical mind and plans for its solution. In earthly paradise, there partly reflects the features of Society of Great Unity of Confucianism, the Pure land of Maitrea of Buddhism, and the Ideal World of Taoism. Yet, it also contains certain distinction with these ideal worlds. Especially,the special feature of Jeungsan’s which is not comparable to any previous world of Immortal or the Ideal world is the definition of the world with no mutual conflict which has resolved all grievances. Hence, Jeungsan can be said to draw a new ideal world of his own while encompassing the previous discourse on the ideal world. In case the critical mind and plans for its solution on which the founder of the new religion has advocated at the outset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are being discounted as a backward thing with its lapse of time, then that new religion would be questioned of its reason for the very existence, and eventually might have to carry on an important self transformation for its survival. Compared to the situation of those days when Jeungsan was engaging his work 100 years ago,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 has changed enormously. Yet, there still exists mutual conflict in the world and nursing grievances has not been resolved completely. Hence, up till the mutual conflict and nursing grievances are completely disappeared,Jeungsan’s teachings are expected to sustain its life force. Besides, it is evident that the dream of the earthly paradise as a Jeungsan’s ideal world is still valid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