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 지방분권의 큰 흐름 가운데 상대적으로 성과가 특히 불분명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6,500여 특별지방행정기관의 기능 이관을 논의의 중심에 두어, 최근의 현실을 짚어 보고 대안적 방향을 제시한다. 지방분권의 구호는 높았지만, 극히 선택된 4% 즉 우선검토 대상 특별지방행정기관에 대하여도 지난 2-3년 내내 기능이관 또는 조정에 관하여 상징적 열매조차 보기 힘들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정부자료를 바탕으로 하되 지난 3년여 정책현장에서의 진행상황을 개관하면서, 성과가 답보상태인 이유를 정리하고 이를 타개할 몇 가지 대안을 모색하였다. 제주도에서 실험된 일괄이양 모형, 지역적ㆍ기능적 차이를 인정하는 선택모형, 그리고 상생을 지향하며 힘을 모으는 통합모형이 그것이며, 여기에 ‘지속성’의 담보를 추가 강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several major issues in the administrative devolution process in Korea for the past few years, particularly regarding that of the central government's field agencies, of which the number totals more than 6,500. Let alone grandiose rhetoric for overall devolution in the early years of the Roh administration, their intention to drastically trim these so-called 'special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has been anything but a success. What has been going on? Why is there a hold-up? Repercussions and reluctance from bureaucrats i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ppear to be only one of the reas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alternative models to address the issue: an across-the-board delegation; optional devolution by region and function; and an integration model. Sustainability in this nature of devolution has also been emphas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