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행동 변화에 미치는 감성의 매개변수적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적극적 연구로부터 소극적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감성이 지각과 순응(행동 의도 등)을 연결하는 매개변수라는 적극적 가설과, 감성이 인식과 저항( 혹은 반응적 행동)을 연결하는 매개변수라는 소극적 가설을 하나의 이론모형으로 통합을 시도하였다. 통합된 모형 안에서 적극적 가설 부분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검증되었으나 소극적 가설 부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매개변수를 검증하려는 연구에서 기존연구가 가정하듯이 인식은 독립변수가 아니라 매개변수일 것이라는 착상을 하게 되었다. 추가적인 자료 없이도 인식이 매개변수라는 가설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인식이 있는 그대로의 현상이나 사실을 지칭하려는 것이 아니고 이들 현상이나 사실을 접할 때 개인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반응을 일컫는 것이므로 매개변수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사후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결과 인식은 감성과 마찬가지로 어떤 상황에 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행정규제 정책 과정에서 매개변수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연구의 시작에 불과하며 향후 반복적인 연구결과로 확인될 필요가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wo hypotheses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emotion is an intervening variable connecting percep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s compliant as a dependent. The second one is that emotion is also an intervening variable mediating cogni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resistanc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first hypothesis te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second one insignificant. Even though it is retrospective, from the cognition which means a negative or resistant idea or thinking arising in one's mind when one meets a new unexpected situation or fact, cognition should enter the model as an intervening variable not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reformed model according to this logic, bothhypotheses are te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cognition is not an independent variable but an intervening variable in this research mode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gnition as well as emotions are intervening variables in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regulatory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