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학습조직은 급격히 변화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조직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조직변화의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학습조직에 대한 관심이 학습조직화를 위한 형식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시스템 개혁에 초점을 둔 반면에 조직구성원이 일을 하는 가운데 실제로 자율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학습과 혁신이 실질적으로 일어나는 비형식학습(informal learning)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먼저 비형식학습의 이론을 검토하고 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주민 행정과 공공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과정에서 일선 공무원들의 혁신이 절실히 필요한 지방정부의 학습조직화과정에서 비형식학습이 나타나는 현상과 그 특징을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를 비교하면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한국의 경우 제도적 발전이 있었던 반면 일본의 경우 절차적 완결성이 높았고 대도시는 관료제화가 많이 진행되어 학습과정에도 투영된 반면 중소규모 도시의 경우 학습공동체의 자율성이 비교적 높았다. 그리고 비형식학습을 통해 능력을 계발하고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나친 규제나 공식적 제도화는 적절하지 않다는 교훈도 얻게 되었다.


Learning organiz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n innovative organizational form which can adapt to the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s. However, most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has focused on the system or structural reforms mainly with the introduction of various formal learning programs. They have been less concerned with the informal learning in which the actual learning and innovations are occurring through the members’ incidental learning when they interact and communicate in the process of the problem-solving of the organizational miss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previous theories of the informal learning, constructing an analytical framework, and explaining how the informal learning is working in the organizational process by comparing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