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푸른길이 광주도심폐선부지의 활용대안으로 결정되고 집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어떻게관리되었는지를 굿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광주 푸른길 사업의 진행과정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재정적 독립을 통한 자율성(Autonomy)을 갖춘 상태에서 결의대회, 서명운동, 헌수운동 등을 통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성(Participation)을 보여주었다. 푸른길운동본부를 중심으로 점차 다양한 NGO 단체를포괄하였고, 시민사회와 연대를 도모함으로써 네트워크(Network) 가치를 충족시켰다. 또한 단기적인 주민의 요구 및 중‧ 장기적인 요구들에 대해 이를 해결하고 반영하려고 노력함으로써 반응성(Responsiveness) 가치를 충족시켰으며, 환경운동연합 등의 비공식적 갈등해결 메커니즘을 통해 높은 조정력(Coordination)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집단은 푸른길 개념과 가치를 연구하고 정립하고 이를 공개함으로써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여 전문성(Specialization) 가치를 충족시켰다. 요컨대 광주 푸른길은 다양한 행위자들의 자발적 참여가 보장되고, 협의‧ 조정‧ 중재를 통해 갈등이 관리되는 메커니즘이 확보된 굿 거버넌스의 성공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ain how social conflicts related to Gwanju Greenway, an alternative for abandoned rail way, have been successfully managed from the perspective of good governance theory. Gwangju Greenway shows high level of autonomy including financial self-dependency. Based on autonomy, actors related to the Greenway revealed their aggressive will of participation through holding rallies, signature-seeking campaigns, and donating trees. The NGO(Purungil Woondongbonbu) with network centrality comprehensively gathered various NGOs and made them closely connected. This NGO shows its responsiveness by giving serious efforts in reflecting solving the needs and requests from citizen. NGOs such as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Gwanju, which holds high level of coordination power, tried to solve social conflict using informal conflict resolution mechanism. Experts such as professors who hold specialization on the case gave their endeavour into developing and building the concept and the validity of Greenway. All above characteristics tells us that Gwanju Greenway is an example of good governance in social conflict management by using negotiations, coordinations while guaranteeing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lated 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