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918년에 발표된 나혜석의 단편 「경희」를 ‘신여성’의 자기정체성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으로 독해하고, ‘소문’의 모티프에 주목하여 당대 ‘신여성’ 담론이 주조되는 양상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신여성’은 조선의 담론장에 등장한 이래, ‘소문’의 대상이자 ‘소문’의 산물이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소문’들이 당대 ‘신여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욕망을 드러낼 뿐 아니라 ‘신여성’의 상을 형성하는 데 주요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경희」의 서사에서 ‘소문’의 수사가 활용되는 방식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경희」의 서사는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욕망이 투영된 일련의 ‘소문’들을 제시하고 이를 부정하는 방식을 통하여 ‘진정한’ ‘신여성’의 상을 구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까닭에 「경희」가 제기하는 ‘신여성’의 덕목은 스스로 타자화하고자 했던 식민지 남성지식인들의 담론과 친연성을 지니는 동시에, ‘현모양처 이념’과 동궤에 놓이게 된다. 작품 속에서 ‘구여성’을 통하여 ‘소문’이 말하여지는 발화/유통 구조는 ‘소문’의 배면에 존재하는 남성주체의 시선을 은폐하고 구여성-남성의 연대를 조장하는 ‘소문’의 특성을 그대로 드러낸다. 또한 「경희」에서 ‘소문’이 신문 등 근대적 제도와 매체들과 관계 맺는 방식은 당대 ‘여학생/신여성’에 대한 소문이 공적담론을 공고히 하는 데 복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경희」에서 ‘신여성’의 자기규정은 끊임없는 타자의 부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과정’에 있다. 이는 ‘경희’가 계몽의 언술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타자에 의해 이야기되어질 뿐 스스로를 대변하지 못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이 때문에 ‘경희’는 ‘신여성’의 기표에 합당한 ‘신여성’의 내용을 발견하기 위하여 내적 성찰로 나아가게 된다. 그러나 ‘경희’의 내적 번민은 개인적 차원에 근거한 ‘직분’의 윤리를 통하여 봉합되어 버린다. 이는 당대의 ‘신여성’ 담론이 ‘소문’으로 대변되는 남성주체들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처럼 「경희」에서 암시하고 있는 바, ‘신여성’ 담론을 추동한 것은 ‘신여성’을 둘러싼 남성주체들의 욕망이었다. 그러나 「경희」는 계몽의 기치 아래 신여성-구여성의 연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소문’에 가담한 구여성들을 계몽의 논리 안으로 포획하고자 한 「경희」의 시도는 ‘소문’을 전유하는 새로운 방식에 다름 아니다. 나혜석의 「경희」는 저항적 차이를 만들어내는 여성적 발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reads Kyung-Hee, Hye-Suk Na’s first work, as the process of forming ‘the New Woman’ identity and reinterprets the understanding that, during that time, the discussion of ‘the New Woman’ was formed through the motif of ‘rumors’. ‘The New Women’ was the subject of ‘rumors’ and the product of ‘Rumors,’ after it appeared on the stage of discussion in Cho-Sun. However,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se ‘rumors’ not only unveiled people’s understanding and desire for ‘the New Woman’, but also acted as the principal axis that formed the conception of ‘the New Woman’. The narration in Kyung-Hee is a good example of the method in which the rhetoric of ‘rumors was used. The narration in Kyung-Hee presents a series of ‘rumors’ in which patriarchal order is reflected and forms the ‘authentic’ conception of ‘the New Woman’ through the denial of this order. However, the virtues of ‘the New Woman’ that are presented by Kyung-Hee are syngeneic with the discussion of male intellectuals in a colony that intended to make themselves the “Others”, and have a confederate relationship with ‘the ideology of a wise mother and good wife’. Within the ignition/ventilation structure, ‘rumors’ are spoken by ‘the old woman’. A problematic point of the novel is that it conceals the view of a male subject and encourages solidarity between ‘the old woman’and ‘male’. Kyung-Hee shows that, through ‘rumors’ relationship with modern systems like the newspaper, ‘rumors’ at that time about ‘female students/the New Woman’ were engaged in confirming public discussion. In Kyung-Hee, the identity of ‘a new women’ is in the process of being formed by the restless denial of others. It is not irrelevant that ‘Kyung-Hee’is spoken for by others and can’t speak for herself, keeping consistent distance from the speaking technique of enlightenment. Therefore, ‘Kyung-Hee’ adopts inner self-reflection to discover the content of ‘the New Woman’ that is suitable for ‘the New Woman’s signifiant. However, ‘Kyung-Hee’s inner agony is sutured by individual’s ethic of duty. It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of ‘the New Woman’ in those days couldn’t escape the view of a male subject spoken in ‘rumors’. As implied in Kyung-Hee, what encourages the discussion of ‘the New Woman’ was the desire of the male subject that surrounded ‘the New Woman’. However, Kyung-Hee present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the old woman’-‘the new woman’ under the banner of enlightening. Kyung-Hee, which intends to capture ‘the old woman’ involved in ‘rumors’ following the logic of enlightening, shows the possibility of feminine ignition and shows a difference type of resistance through the new method that appropriates ‘rum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