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작자 자신이 자전(自傳)이라 부르기도 한 터라, 지금까지 「여인」의 내용은 사실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여인」의 텍스트 가운데서 일본이 무대로 되어 있는 처음의 연재 3회분 ‘메리’, ‘나카지마 요시에’, ‘만조지 아키코’장을 가능한 한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그 결과 ‘메리’장과 ‘나타시마 요시에’장의 경우, 적어도 지리적 서술은 사실에 입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만조지 아키코’장에 등장하는 F화백 후지시마 타케지(藤島武二)에 대해서 연보 및 제자들의 회상과 비교하여 검토해 본 결과, 김동인이 후지시마의 문하생이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음이 분명해졌다. 따라서 만조지 아키코라는 여성도 김동인이 만들어낸 인물이라는 얘기가 된다. 그러면 그녀는 김동인에게 무엇을 의미했던 것일까. 「여인」의 주인공을 매료시키는 동시에 혐오하게 만드는 아키코라는 여성은 자아의 벽에 틀어박혀 있던 김동인이 마음속에서 찾고 있던 ‘타자’이자, 영화나 박람회 등의 문화적 치장으로 식민지의 청년을 매혹시킨 대도시 ‘도쿄’ 이 두 가지를 의미하고 있으며, 「여인」의 주인공이 아키코에게 품는 양가적인 감정은 작자가 ‘타자’와 ‘도쿄’에 대해 품었던 양가 감정의 투영이 아니었을까 하는 것이 필자의 추론이었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김동인이 자기를 후지시마의 제자로 내세운 이유를 고찰했다. 텍스트에 나오는 ‘단순미’, ‘구성미’라는 말을 단서로 하여 이 두 예술가의 창작론에 공통적인 ‘단순화’라는 말을 비교 검토하고, 김동인이 소설 창작에 불가결하다고 간주한 ‘단순화’는 후지시마가 창작할 때 화면 구성의 제일의(第一義)라고 역설한 ‘단순화’에서 채용했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따라서 김동인이 후지시마에게 미학을 배웠다고 말한 것은, 직접적인 지도를 받은 것은 아니더라도 그의 회화론에서 간접적으로 배웠다는 의식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作者自身が自伝と呼んだこともあって、これまで「女人」の内容は事実と見なされる傾向があった。本稿では「女人」のテキスト中、日本が舞台になっている最初の連載3回分「メリー」「中島芳江」「萬造寺あき子」をできるだけ実証的に考証することを試みた。その結果、「メリー」「中島芳江」に関しては、少なくとも白金台周辺の地理的記述は事実に立脚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次に「萬造寺あき子」に登場するF画伯=藤島武二について、年譜および弟子たちの回想と照らし合わせてみたところ、金東仁が藤島の門下生であった可能性はほとんどな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したがって、萬造寺あき子という女性も金東仁が創り出した人物ということになる。本稿では、それでは彼女は金東仁にとって何を意味していたのだろうという問いかけをおこなった。そして、「女人」の主人公を魅了すると同時に嫌悪させるあき子という女性は、一つは自我の壁に閉じ込められていた金東仁が心の奥で求めていた「他者」、もう一つは映画や博覧會などの文化的なよそおいで植民地の靑年を惹きつけたメトロポリス「東京」、この二つを意味しており、「女人」の主人公があき子に抱くアンビヴァレントな感情は、作者が「他者」と「東京」に対して抱いたアンビヴァレンスの投影であったのではないかと推論した。 本稿では最後に、金東仁が自身を藤島の弟子に擬した理由を考えた。テキストにある「単純美」「構成美」という言葉を手がかりにして、この二人の芸術家の創作論に共通する「単純化」という言葉を比較檢討し、金東仁が小說創作上不可欠とした「単純化」は、藤島が制作のさい画面構成の第一義と力說した「単純化」(サンプリシテ)から採り入れたのであろうと推論した。金東仁が「女人」の中で自分は藤島から美学を学んだと語ったのは、直接の指導を受けたことはなくても彼の繪画論から間接的に学んだという意識があったからだと思われるの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