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전후일본의 대중사회 담론과 1960년 미일안보조약 개정 반대투쟁을 둘러싼 서사를 통해 ‘대중’과 ‘시민’이라는 집합적 주체가 교차, 길항하는 과정을 살펴봤다. 20세기 초 서양국가에서 등장한 대중사회론은 일본에서 고도성장의 출발시점인 50년대 중반에 적극적으로 소개되어 정치와 경제, 권력과 민중과의 관계를 둘러싸고 첨예한 논점들을 제시하였다. 당시 진보적 지식인들은 대중사회론을 마르크스주의와 전후계몽사상에 대한 커다란 도전으로 받아들여 논쟁을 벌였으나 서로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종결되었다. ‘너무 이른 논쟁’으로 평가되는 이 논쟁 배경에는 ‘시민사회’ 단계를 겪지 않고 ‘대중사회’(mass society)로 이행한 일본의 특수성이 있었다. 그런데 60년 안보투쟁의 충격은 ‘대중’에서 ‘시민’으로의 일종의 ‘역코스’ 과정을 준비하였다. 일부 지식인들은 안보투쟁의 과정에서 ‘대중’이 아닌 저항하는 ‘시민’들을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그들의 각성과 주체화를 촉진하였다. 민주주의 옹호를 외치며 저항하는 주체들은 마르크주의적 ‘시민(bourgeoisie)’이 아닌 ‘시민(citizen)’으로 새롭게 호명되었다. ‘시민주의’로 불린 이 새로운 흐름은 ‘시민’을 노동자가 아닌, ‘직업인’과 ‘생활인’의 양립으로 파악하는 시각으로 특징 지어졌고, 자율적인 ‘생활인’라는 말은 그 후 일본의 사회운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시민주의’가 취한 온건한 통일전선은 ‘투쟁하는 노동자’라는 인간형과의 단절의 계기를 확고히 함으로써 안보조약개정을 저지하고자 하는 실질적 과제와 멀어져 갔다. 대중사회화가 민주주의의 후진성과 결합할 때 무한한 외연 확대로 인해 정치적 핵심이 떨어져 가는 역설을 60년 안보투쟁은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section and contention of “mass” and “citizen” along with its discursive effects in postwar Japan, focusing on narratives of Anpo Tousou, the struggle against the US-Japan Mutual Security Treaty in 1960. Discourses on mass society, which originally emerged in the western countries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brought about acute controversy on how politics, economics, power and people are related with one another when they were actively introduced to Japan at a time of high-growth in the 50s. At that time, progressive intellectuals viewed discourses on mass society as a significant challenge to Marxism and postwar enlightenment thoughts and debated fiercely. Nevertheless, there was no consensus among them, the debates only resulted in intellectual conversion to the retreat. At the backdrop of these too early arrived debates lies a specificity of Japanese society that lacked the phase of civil society before the transition to mass society. Yet, a sort of reverse course from “mass” to “citizen” resulted from the aftershock of the struggles against the US-Japan treaty in the 1960s. Some intellectuals attempted to protest “citizens” instead of “mass” in the course of the struggles and viewed them as a distinctive subject. Those subjects who protested in defense of democracy were newly termed “citizens” not “bourgeoisie” in the Marxist sense. This new trend whose characteristic was to determine “citizen” as a coexistence of both “professional” and “living man” instead of as “laborer” was entitled “civicism”. Thereafter, the term of autonomous living man could gain significant meaning throughout the history of Japanese social movement. Nevertheless, the moderateness of the united front taken by civicism completely broke with the notion of rebellious laborers and thus could not practically stop the treaty revision in reality. What is paradoxical of the struggles in the 1960s against the US-Japan treaty is that the more mass society is extended, particularly combined with the backwardness of democracy, the less political its actual leverage be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