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예전에는 업무 과정에서 생산되는 모든 기록들은 종이 형태로 작성, 관리했었으나 최근에는 전자적 형태의 기록이 종이를 대신하고 있다. 전자기록은 종이기록과 달리 생산과 보관의 편리성으로 업무 효율성 극대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을 갖고 있는 반면에 종이기록처럼 원본과 사본의 뚜렷한 구분이 어렵고 변경, 훼손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전자적 환경에서 외부 영향에 의해 변경, 훼손될 수 있으며 S/W, H/W 환경이 변화할 때마다 즉각적인 조치를 취함에 있어 어느 경우에는 막대한 인력과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무의 편리성과 생산비용의 효율성으로 인해서 현재 업무 환경에서는 전자기록 생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와 민간 영역에서는 전자적 형태의 기록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그 방법 중의 하나가 본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사업(이하 공전소 사업)이다. 원활한 공전소 사업를 위해서 행정적으로는 전자기록의 법적 효력 보장과 기술적으로는 전자기록의 신뢰성, 진본성 보장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했다. 그래서 공전소 사업 주체인 산업자원부와 한국전자거래진흥원은 2005년 전자거래법 개정을 통해서 전자기록의 법적 효력 보장 규정을 보완하고 2006년에는 공전소 이용자의 요구인 전자기록의 장기보존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진행됐다. 이러한 공전소의 목적 달성을 위해 공전소 전자기록 정보패키지 연구에서는 디지털 형태의 장기보존을 위한 표준인 ISO 14721 정보패키지 모델을 적용하여, 전자기록이 생산 시점의 SIP, 보관 시점의 AIP, 이용자 활용 시점의 DIP 메타데이터 기능을 마련하고 이들이 공전소 정책에 따라 구현될 수 있도록 정보패키지를 생성,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었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공전소 전자기록 정보패키지의 생성, 진행 과정과 적용 방법, 패키지 간의 흐름도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이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Those days when people used paper to make up and manage all kinds of documents in the process of their jobs are gone now. Today electronic types of documents have replaced paper. Unlike paper documents, electronic ones contribute to the maximum job efficiency with their convenience in production and storage. But they too have some disadvantages; it's difficult to distinguish originals and copies like paper documents; it's not easy to examine if there is a change or damage to the documents; they are also prone to alteration and damage by the external influences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 and electronic documents require enormous amounts of workforce and costs for immediate measures to be taken according to the changes to the S/W and H/W environment. Despite all those weaknesses, however, electronic documents increasingly account for more percentage in the current job environment thanks to their job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production costs.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have made efforts to come up with plans to maximize their advantages and minimize their risks at the same time. One of the methods is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which is described in the study. There are a couple of prerequisites for its smooth operation; they should guarantee the legal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the administrative aspects and first secure the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the technological aspects. Responding to those needs,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which were the two main bodies to drive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project, revised the Electronic Commerce Act and supplemented the provisions to guarantee the legal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2005 and conducted researches on the ways to preserve electronic documents for a long term and secure their reliability, which had been demanded by the users of the center, in 2006. In an attempt to fulfill those goals of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this study researched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of the center and applied the ISO 14721 information package model that's the standard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data. It also suggested a process to produce and manage information package so that there would be the SIP, AIP and DIP metadata features for the produc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by users points of electronic documents and they c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enter's policie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study introduced the flow charts among the production and progress process, application methods and packages of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at the center and suggested some issues that should be consistently research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